"지진 대책 때 해저활성단층 조사하라"

입력 : 2016-11-13 23:02:04 수정 : 2016-11-15 10:44:06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정부가 추진 중인 지진방재 국가 활성단층 조사와 관련해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시민단체와 학계에서 주장해온 해저활성단층 조사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하고 나서 주목된다.

KMI는 11월 2호 주간 리포트 'KMI 동향분석'에서 "활성단층은 육지에서 해양으로 이어진 경우가 많아 육상과 해양을 아우르는 활성단층 조사가 필수적"이라며 "정부가 추진 중인 '국가 활성단층 종합대책'에 해저활성단층 조사도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주장
활성단층, 해양까지 이어져
육상·해양 종합 조사 필수
배제 땐 예측 신뢰성 떨어져


윤성순 KMI 해양정책연구실장은 "정부가 마련한 국가 활성단층 종합대책은 해저단층은 제외된 채 추진될 예정이다"며 "해저단층 조사가 배제될 경우 지진의 원인이 되는 활성단층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이뤄지지 않고 지진 규모 예측의 신뢰성도 떨어져 종합적인 지진대책을 수립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앞서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연구를 통해 양산단층과 일광단층이 해저의 활성단층과 연결돼 있다고 밝혔다. 경주 지진의 진앙으로 판단되는 양산단층의 경우도 거제 인근 해저까지 남북으로 이어진 활성단층이라는 연구 결과를 볼 때 육상과 해저 단층은 연결돼 있다는 것이다.

일본 동경대 박진오 교수는 "양산단층군이 동해와 남해로 향하고 있어 연장선이 해저에 분포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해저단층의 활동으로 쓰나미 발생 가능성도 크다"고 경고했다.

일본 후쿠시마 지진의 경우도 지진의 진동보다 지진해일에 의한 피해가 훨씬 더 심각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요 산업단지와 시설들이 연안을 중심으로 분포해 있어 지진과 해일에 따른 막대한 피해가 우려되지만 육상단층에 비해 해저단층의 조사가 매우 미흡하다.

정부는 지난 9월 12일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을 계기로 범정부 차원의 '지진방재 종합개선 기획단'을 구성했고 2017년부터 25년간 모두 525억 원을 투입해 국토의 활성단층을 조사하는 '국가 활성단층 종합대책'을 수립 중이다.

국민안전처 등에 따르면 이 대책에는 해저활성단층 조사계획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KMI에서는 일본과 미국, 영국의 사례를 들어 잠재적 위험성이 높은 해저단층 조사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현정 기자 yourfoot@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