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 연구로 중단에 '방사성동위원소 융합사업'도 급제동

입력 : 2017-03-13 23:00:39 수정 : 2017-03-15 11:23:53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원자력안전위원회가 경주지진 이후 부지 안전성을 이유로 기장 '수출용 신형 연구로' 건설 허가를 내주지 않으면서 이를 기반으로 한 방사성동위원소 융합연구 사업도 직격탄을 맞았다.

기장 연구로 사업 자체도 그동안 사업이 늦어지는 바람에 사업비가 1.5배 정도로 뛰어 사업 적정성을 재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동남권의과학산단 내 추진
연구로 생산 원료 제품화 연구
융합사업화 지원시설 직격탄

연구로 사업비도 1.5배 뛰어
사업 적정성 재검토 진행 중

13일 부산시와 기장군에 따르면 한국원자력연구원은 기장군 동남권방사선의과학산단 내 1만6500㎡ 부지에 연면적 8800㎡으로 방사성동위원소 융합기술사업화 지원시설을 추진 중이다.

이 사업에는 국비와 지방비 303억 원이 들어가는데, 기장 연구로(조감도)에서 생산할 방사성동위원소 원료를 어떻게 가공해 제품화할지 산·학·연이 함께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 사업은 당연히 2020년 기장 연구로(부지 13만㎡, 15㎿급 1기) 상업가동을 전제로 한 것이다. 건축에 2년, 장비 구축과 식약처 품목허가에 1년이 걸리는 점을 감안해 올해 설계를 진행해 착공해야 한다.

그런데 기장 연구로 사업이 '활성단층 조사'로 막히면서 이 사업에도 급제동이 걸렸다. 원안위가 5년간 진행될 원전 주변 지역 활성단층 연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기장 연구로 건설허가를 내주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방사성동위원소의 국제 수급과, 관련 연구개발에도 큰 타격이 예상된다. 암과 심혈관 진단용 몰리브덴-99, 갑상선암 치료에 쓰이는 요오드-131, 비파괴검사용 이리듐-192 등이 대표적인 방사성동위원소다.

한국원자력연구원도 지난해 5월 기장 연구로 가동을 전제로 국내 유일의 다목적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1995년 가동 시작)를 기초과학연구에 집중키로 방침을 정했다. 방사성동위원소 생산, 중성자 도핑서비스 등은 기장으로 이관하는 것이다. 기장 연구로가 안 되면 이 계획도 역시 차질을 빚게 된다.

한편 본보 취재 결과, 사업 지체로 기장 연구로 사업비도 크게 증액됐다. 2900억 원에서 4570억 원으로 늘었다. 지난해 12월부터 한국기술기획평가원(KISTEP)에서 사업 적정성을 재검토 중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사고 이후 안전기준이 강화돼 원가가 많이 뛰었다"며 "사업이 늦어질수록 사업비는 불어날 것이다"고 말했다.

원안위와 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이 사안과 관련해 14일 협의를 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 앞으로 기장 연구로 사업을 어떻게 할지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원안위 관계자는 "사업자 측에서 허가서류를 보완해 오면 심사를 하겠다는 입장에는 변함은 없다"면서도 "14일 간담회 형식의 회의가 예정돼 있다"고 밝혔다. 김마선 기자 msk@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