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클린에너지 부산 원년] 2부 1. 독일-탈원전 넘어 100% 신재생으로

입력 : 2017-07-09 23:01:15 수정 : 2017-07-10 09:10:59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독일 '풀뿌리 전기'로 신재생 비중 30%로 늘렸다

독일 그린피스 에너지 직원들이 건물 옥상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을 살펴보고 있는 모습. 그린피스 에너지 제공

부산일보는 지난해 연말 '원전 공포, 자식에게도 물려주시겠습니까'를 시작으로 '2017 클린에너지 부산 원년으로' 기획 시리즈를 보도해 왔다. 이런 노력은 지난 대선 국면에서 '탈핵'이 전국적 의제가 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리고 지난달 19일, 우리나라 에너지 정책은 분수령을 맞았다. 문재인 대통령이 고리원전 1호기 영구 폐로에 맞춰 탈핵·탈석탄을 선언한 것이다.

우리 사회는 이제 에너지전환의 첫 걸음을 뗐다. 그러나 저항도 만만찮다. 원전 위험을 체감하지 못하는 이들은 전기료 인상과 매몰비용을 부각시켜 세계 최대의 원전 밀집지인 부·울·경 시민들의 불안도 애써 외면하고 있다. 부산일보 특별취재팀은 클린에너지 시리즈 2부를 통해 우리보다 먼저 에너지전환의 길을 걷고 있는 해외 사례를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독일과 덴마크를 비롯한 국내외 사례를 참고 삼아 시민과 미래세대의 안전을 위한 대안을 찾고자 한다. 특별취재팀 msk@

신재생에너지원 생산 전기
전력회사 구입 의무화로
소규모 사업자들 판로 열려
신재생협동조합 활동 활발

원전 폐쇄 정책 시행 이후
에너지사용 가구 부담비용
술·담배 지출보다 적어

독일. 인구 8000만 명에 GDP 3조 4000억 달러로 세계 4위, 1인당 GDP는 4만 1200달러인 나라다. 독일의 지난해 발전량은 648TWh로 같은 해 한국의 발전량(540.4TWh)보다 1.2배 많다. 그런데 독일 발전의 에너지원별 구성을 보면 원전, 천연가스, 석탄뿐만 아니라 풍력, 바이오매스, 태양광, 수력 등 매우 다양하다. 이 중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만 전체 전기의 30% 가까이 만들어 낸다. 독일은 여기에서 더 나아가 205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100%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에너지 수입에서 100% 신재생으로

독일은 한국처럼 '기름 한 방울 안 나는 나라'다. 2010년 에너지 전환에 방점을 둔 '에너지계획(energy concept)'을 발표할 때만 하더라도 독일의 에너지자원 수입 의존도가 77%에 이르렀다. 그럼에도 1970년대부터 지속된 반핵 운동의 전통과 에너지전환에 대한 관심은 독일을 신재생에너지 선두 주자로 이끌었다. 2022년까지 독일 내 모든 원전 폐쇄를 결정한 배경에도 이런 자신감이 깔려 있다.

지난해 독일이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는 191.3TWh로 전체 발전량의 29.6%, 1위를 차지했다. 한해 우리나라 원전의 발전 비중과 거의 같다. 특히 독일은 전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중 태양광에서만 20%에 해당하는 38.3TWh의 전기를 생산했는데, 이는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체 전기(19.6TWh)에 견줘 배가량 많다. 독일은 위도가 높아 태양광이 풍부하지 못함에도 이 정도 전기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제조업체들도 이에 발맞춰 에너지 효율을 높여왔기 때문에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높여도 제조업 최강국의 명성은 흔들리지 않고 있다. 그뿐 아니라 독일은 '지역 네트워크' 체계를 바탕으로 205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최소한 80%에서 최대 100%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에 투자하고 원전 폐쇄를 선택한 독일의 전기요금은 폭등했을까? 독일의 원전 폐쇄를 결정한 '윤리위원회' 위원 미란다 슈로이어 베를린 자유대학 교수는 지난달 방한해 "가정의 전기요금은 ㎾h당 1998년에 17센트, 2009년에 23센트, 2015년에 28센트 정도로 증가했다"면서 "2016년 자료를 보면 에너지사용에 가구부담 비용은 전체에서 0.7%, 전력요금은 3%인데, 술·담배 지출 4%보다 작게 나와 맥주 한 번 안 마시면 된다"고 말했다.

■독일의 장삼이사, 전력 공급자로 변신

지난달 27일 오전 독일 함부르크 '그린피스 에너지' 빌딩 옥상. 신재생에너지 협동조합답게 풍력 터빈과 태양광 전지가 빼곡히 들어서 있었다. 1999년 10월 28일 설립된 그린피스 에너지는 현재 조합원이 2만 4000명이다. 그린피스 에너지는 유명한 환경단체 그린피스의 이름을 사용하는 대신 그린피스가 요구하는 기준에 따라 신재생에너지로만 전기를 생산해야 한다. 하지만 조합의 운영은 그린피스와 별개로 이뤄진다.

그린피스 에너지는 지난해 370GWh의 전기를 생산해 13만 고객들에게 판매했는데, 이 중 7%가량이 전력회사를 비롯한 기업 고객들이다. 지난해 수익금 1억 200만 유로(1346억 5000만 원)의 대부분은 설비에 재투자됐고, 일부는 조합원들에게 배당됐다. 그린피스 에너지의 자회사 '플래닛 에너지'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짓는 데 1억 4300만 유로(1885억 9000만 원)를 투자해 독일과 오스트리아에 78㎿ 규모의 태양광 발전단지 3곳과 풍력 발전단지 13곳을 운영하고 있다.

눈여겨 볼 점은 그린피스 에너지가 남아도는 풍력 전기로 수소를 만들어 메탄가스(천연가스)를 생산하는 기술을 갖췄다는 것. 이는 신재생에너지를 저장하는 기술로 직결되기 때문에 새로운 사업 모델이다.

그린피스 에너지 미디어 담당자 헨릭 뒤커 씨는 "전기로 물을 분해해 수소와 메탄가스를 생산, 또 다른 에너지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면서 "지멘스, 아우디 등 독일의 큰 기업들도 이런 설비를 갖춰서 에너지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재생에너지로 꽃핀 '에너지분권'

그린피스 에너지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협동조합은 독일 전역에서 800개가 넘는다. 1999년부터 4개 회사들의 과점체제였던 전력 시장이 개방되면서 누구나 전력 공급이 가능해졌고, 2000년에는 '신재생에너지법'이 통과되면서 전력회사는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생산된 전기를 고정 금액으로 반드시 구입해야 하는 제도(FIT, Feed in Tariff)가 전격 시행된다. 협동조합과 같은 소규모 사업자들이 안정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각 지역마다 신재생에너지에 기반을 둔 '풀뿌리 전력공급'이 이뤄지면서 100% 신재생에너지 공급에 성공한 지자체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지난해 독일이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의 절반은 시민들의 이 같은 참여로 생산된 것이기도 하다. 과거 정부들이 비수도권에 폭력적인 방식으로 대형 원전을 짓고 전기를 보내는 고압 송전선로 설치 지역마다 갈등을 일으켰던 우리의 사례에 비췄을 때 독일의 경험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독일 '100 퍼센트 신재생에너지 재단' 사브리나 코르시 프로젝트 매니저는 "에너지분권은 필요한 곳에서 에너지를 생산해 소비하는 게 핵심이다"면서 "시민 참여와 '에너지 민주주의'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에너지원이 바로 신재생에너지다"고 강조했다. 함부르크(독일)= 특별취재팀

hsh03@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