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후핵연료 수조 포화, 대책 없다

입력 : 2018-10-17 20:10:44 수정 : 2018-10-17 22:41:18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고리원전을 포함한 국내 원전 내부의 사용후핵연료 저장 공간인 수조가 수년 내 포화 상태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사용후핵연료를 수조에서 꺼내 쌓아놓는 건식 저장시설 건립 등이 논의되고 있으나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폐기장이나 마찬가지인 이 같은 시설 설치가 원전 주변 지역 주민들의 동의를 얻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국내 원전 저장 수조 꽉 차
고리 3·4호기 94% 사용 건립

추진 '건식 저장시설'
환경단체 "사고 위험" 반발

17일 국회 산자중기위 백재현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고리 3·4호기와 경북 울진군 한울원전 한울 1·2호기의 사용후핵연료 저장수조의 사용 용량이 9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수원에 따르면 2018년도 2분기까지 고리원전 내 고리 3호기의 사용후핵연료 저장수조에는 총 2103다발 중 1980다발(94.1%)이 채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리 4호기 역시 2105다발 중 1997다발(94.8%)이 들어차 포화가 임박했다. 지난해 6월 가동이 중단된 고리 1호기에도 485다발의 사용후핵연료가 임시 저장돼 있다.

한수원 고리본부는 현재 가동 상황을 고려할 때 2024년께 고리원전 내 모든 원전의 저장시설이 가득 찰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수원과 원전 업계에서는 각 원전의 습식 저장시설이 포화함에 따라 원전 내 사용후핵연료를 빼내 별도 보관할 건식 저장시설이나 대규모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폐기장을 확보해야 지속적인 원전 가동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1983년부터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폐기장을 설치하기 위한 부지 확보 작업을 벌이고 있지만 검토 지역 주민들의 극심한 반발에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환경 단체와 탈핵 단체들은 "건식 저장시설 추가 설치는 방사성폐기물로 인한 사고 위험을 키울 뿐이다"며 건식 저장시설 설치에 반대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5월부터 사용후핵연료의 처리 방안을 논의할 '고준위방폐물 관리정책 재검토준비단'을 구성해 사용후핵연료 처리 논의를 위한 절차 마련에 착수했지만 주민 의견을 어떻게 수렴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숙제다.

송현수·김한수 기자 hangang@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