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 도시재생 요체는 지속가능한 공동체 형성

입력 : 2014-03-15 08:44:43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도시재생 특별법'이 올해부터 본격 시행됨에 따라 부산시와 일선 구·군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부산시는 오늘 정부의 도시재생 선도지역 공모 사업에 경제기반형 1개와 근린재생형 10개 사업을 신청했다. 국토교통부는 내달 말 11곳의 선도지역을 선정한다. 경제기반형 사업에는 500억 원, 근린재생형 사업에는 200억 원(국비·시비 매칭)이 투입되게 된다. 이와 별도로 부산시는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 지정을 위한 전략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했다.

당장 발등의 불은 부산시가 신청한 '원도심 재창조를 위한 창조경제 플랫폼 구축' 사업이 경제기반형 선도사업으로 선정되는 일이다. 이 사업은 북항재개발과 부산역 일원 종합개발, 산복도로 르네상스를 연계한 것으로 국비 확보가 화급한 과제이다. 부산시는 10개 구·군이 신청한 근린재생형 사업들 중에서도 선도사업에 선정될 수 있도록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1순위로 지정된 영도구의 '절영도 골목길 골드 사업'이 특히 눈에 띈다. 영선·신선·봉래·청학동 뉴타운 해제지역이 사업 대상지라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선도사업이 성공적으로 이뤄져야 향후 나머지 지역의 도시재생도 탄력을 받을 수 있다. 내년부터 국비 지원이 확대되는 만큼 국비를 따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 가지 염려되는 것은 시·도별, 구·군별로 국비 확보를 위한 경쟁이 과열되다 보면 도시재생 사업이 본래의 취지에서 벗어나지 않을까 하는 점이다. 도시재생은 재개발·재건축과는 달리 노후 주택의 개보수와 기반시설 정비를 통해 기존 주민들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데 있다. 마을기업 등 경제기반 조성과 주민 일자리 제공을 통해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형성하는 게 목표다. 어디까지나 사업의 주체는 주민들이 되어야 한다. 자칫 외부 자본이나 사람들의 돈벌이 수단으로 변질되는 일이 있어선 안 될 일이다. 지역주민과 전문가, 행정단체가 삼위일체가 돼 추진할 때 모범적인 도시재생의 꽃이 활짝 피어날 것이다.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