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지역 건축가 협업 의무화, 부산만의 정체성 살린다

입력 : 2025-03-19 21:00:00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시 특별건축구역 활성화 사업
부산 시내 건축사 참여 조율
해외 건축가 명성 탈피 의지
건폐율·용적률 등 미리 협의
사업지 선정 방식도 차별화

부산시가 올해 특별건축구역 활성화 사업에서는 지역 건축가와의 협업을 필수 조건으로 내걸 방침이다. 지난해 특별건축구역 시범 사업지로 선정된 남천2구역(삼익비치) 재건축 설계 조감도. 부산일보 DB 부산시가 올해 특별건축구역 활성화 사업에서는 지역 건축가와의 협업을 필수 조건으로 내걸 방침이다. 지난해 특별건축구역 시범 사업지로 선정된 남천2구역(삼익비치) 재건축 설계 조감도. 부산일보 DB
부산시가 올해 특별건축구역 활성화 사업에서는 지역 건축가와의 협업을 필수 조건으로 내걸 방침이다. 지난해 특별건축구역 시범 사업지로 선정된 남포동 하버타운 설계 조감도. 부산일보 DB 부산시가 올해 특별건축구역 활성화 사업에서는 지역 건축가와의 협업을 필수 조건으로 내걸 방침이다. 지난해 특별건축구역 시범 사업지로 선정된 남포동 하버타운 설계 조감도. 부산일보 DB
부산시가 올해 특별건축구역 활성화 사업에서는 지역 건축가와의 협업을 필수 조건으로 내걸 방침이다. 지난해 특별건축구역 시범 사업지로 선정된 영도 콜렉티브 힐스의 설계 조감도. 부산일보 DB 부산시가 올해 특별건축구역 활성화 사업에서는 지역 건축가와의 협업을 필수 조건으로 내걸 방침이다. 지난해 특별건축구역 시범 사업지로 선정된 영도 콜렉티브 힐스의 설계 조감도. 부산일보 DB

세계적으로 유명한 건축가도 앞으로 지역 건축가와 협업을 해야만 부산 특별건축구역 사업에 뛰어들 수 있게 된다. 실력을 갖춘 국내 건축사무소라면 해외 유명 건축가에 기댈 필요 없이 자체적으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길이 열릴 전망이다.


19일 부산시와 지역 건축업계에 따르면 올해 부산시 특별건축구역 활성화 사업은 지역 건축가와의 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지난해 시는 특별건축구역 활성화 시범 사업을 추진하면서 세계적인 건축가를 중심으로 설계를 맡겼다. 자연히 해외 유명 건축가가 부산에 랜드마크형 건축물을 짓는 데 방점이 찍혔다. 도미니크 페로와 렘 콜하스 등 세계적인 건축가들이 후보지 설계를 맡아 관심을 모았다.

물론 이들도 국내 건축설계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하도록 했지만, 반드시 부산 지역 건축가일 필요는 없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부산 지역 건축사무소가 컨소시엄에 반드시 참여해야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시가 조율할 방침이다.

이 같은 협업을 통해 지역 건축업계의 내실을 다지고 위상을 강화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해외 건축가의 위상에만 기대지 않고, 부산이라는 지역 특색을 살리는 설계 결과물을 받아낼 가능성도 높아진다는 계산이다.

사업지 선정 방식도 지난해와는 차별성을 둔다. 종전에는 사업 주체가 부지와 설계안을 가져오면 시가 선정 여부를 결정하는 형태였다. 이러다 보니 실제 용적률 완화 정도 등을 바라보는 부산시와 사업자 간의 ‘동상이몽’이 좀처럼 좁혀지지 않았다. 설계는 만들었지만 심사에서 탈락한 이들이 수십억 원의 설계비를 떠안아야 하는 일도 발생했다.

이에 시는 올해부터 사업자와 미리 건폐율, 용적률, 건축물 높이 제한 등 건축규제 완화에 관한 사항을 미리 협의해 예상되는 규모를 정한다. 이후 해당 부지를 두고 설계 공모를 내서 5개 안팎의 설계 공모안을 받겠다는 것이다.

시는 사업지마다 외국계 건축사무소 2곳, 국내 건축사무소 3곳 정도를 추려 설계안을 받아 검토를 진행할 방침이다. 세계적 건축가라는 명성에만 기댔던 지난해 시범사업과는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

이 같은 보완책 마련에도 특별건축구역이 안착하기 위해 넘어야 할 산은 적지 않다. 특히 특정 사업지의 규제 완화를 위한 들러리 행사라는 비판은 업계 곳곳에서 아직도 나오고 있다.

시는 지난해 삼익비치 재건축, 남포동 하버타운, 영도 콜렉티브 힐스 등 3곳을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했다. 남포동 하버타운과 영도 콜렉티브 힐스는 구역 지정을 신청했지만, 논란이 됐던 삼익비치는 다음 달 조합원 총회를 거쳐 신청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제출한 설계안대로 삼익비치가 99층짜리 건물로 건립된다면 최소 9억 원 안팎의 분담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갑툭튀’ 마천루 개발도 문제가 될 수 있다. 부산의 한 건축사는 “부산의 아파트가 천편일률적이고 정형화된 형태로 개발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사업이지만, 지난해 뽑힌 작품들을 보면 높이만 높아졌지 기존 개발과 차이점이 뭔지 잘 모르겠다”며 “주변 건축물은 그대로인데 해당 사업지만 콕 집어 초고층으로 개발된다면 오히려 조화로운 도시 경관이 훼손될 수 있다”고 말했다.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