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창원대학교가 6년에 걸친 끈질긴 학술 연구와 현지 추적 끝에 묘소를 확인하지 못했던 하와이 독립유공자 11명을 발굴했다.
창원대 박물관·지속가능발전연구소는 2019년부터 하와이 초기 한인 이민자 묘소 조사를 시작해 현재까지 총 1600기를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하와이 이민 1세대의 잊힌 삶을 기록하고 기억하려 기획됐다.
지난 3월 하와이 이민자 묘소를 정리·검토하는 과정에서 독립유공자 5인 묘소를 확인했다.
이어 6월에는 묘소가 확인되지 않았던 독립유공자 명단을 토대로 고덕화·김공도·김영선·박금우·박정금·홍치범 지사 등 6인 묘소를 추가로 찾아냈다.
연구원은 국가보훈부 공적조서, 일본 외무성 여권 발급대장, 미국 인구조사(Census) 기록, 한국지명총람 등 자료를 교차 검증하며 묘소 주인을 확인했다.
이후 현지 조사를 통해 묘지 탐문, GPS 좌표 기록, 묘비 탁본, 추모식 등을 진행하며 이들의 묘소를 명문화했다.
연구팀은 “후손 없이 방치된 시멘트·화산석 묘비가 빠르게 훼손되는 현실을 마주하며 이번이 마지막 기회라는 절박함으로 현장에 임했다”고 말했다.
창원대 박민원 총장은 “하와이 땅끝에 묻힌 선열들의 숨결을 오늘에 되살리는 일은 국립대가 감당해야 할 시대적 소명”이라며 “창원에서 하와이까지 이어지는 ‘기억의 항로’를 성실히 복원해 국립창원대가 세계 한인 디아스포라 연구의 허브가 되겠다”고 했다.
강대한 기자 kd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