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 “노후주택 화재 위험, 실효적 장비 보급 절실”

입력 : 2025-07-24 16:56:28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부산시의회는 24일 시의회 중회의실에서 노후 건축물 및 재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화재 대응 정책 간담회를 열었다. 부산시의회 제공 부산시의회는 24일 시의회 중회의실에서 노후 건축물 및 재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화재 대응 정책 간담회를 열었다. 부산시의회 제공

최근 부산에서 화재 참사가 잇따르자, 부산시의회에서 화재 예방 설비 중심의 실질적 대응체계 구축 필요성이 제기됐다. 스프링클러 설치 의무 대상이 아닌 노후 다세대·연립·단독주택은 구조적 개선이 쉽지 않기 때문에 보다 실효적인 대책은 자동소화기 등 장비 보급이 우선이라는 것이다. 시의회는 화재 사고 예방을 위한 관련 조례 개정도 나선다.

부산시의회는 24일 시의회 중회의실에서 노후 건축물 및 재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화재 대응 정책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는 서지연(무소속) 의원을 비롯해 이승연(수영2) 의원, 서국보(동래3) 의원, 이승연(수영2) 의원, 송우현(동래2) 의원, 김형철(연제2) 의원, 박종철(기장1) 의원이 함께했다.

간담회에선 자동으로 작동하는 화재 예방 설비 중심의 정책 전환 필요성이 제기됐다. 현재 화재 예방 관련 조례들은 스프링클러와 감지기 설치 수준에만 머물러 있다. 이에 불이 커지기 전 조기에 진압할 수 있는 △자동소화기(화재 초기 온도 감지로 작동), △누전차단기(전기화재 예방), △아크차단기(불꽃 발생 차단) 등 다양한 소방설비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조례 개정과 지원 예산 확대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고령자·장애인·아동 등 취약계층 주거지에 화재 예방 설비를 우선 설치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데에도 공감대가 모였다. 아파트뿐만 아니라 다세대·연립·단독주택 등 화재 사각지대가 없도록 여러 주거 형태를 고려한 맞춤형 화재 예방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논의도 오갔다.

서지연 의원은 촘촘한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전면적인 조례 개편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서 의원은 “부산시가 전국 최초로 ‘사전 예방 중심의 통합 화재 예방 시스템’을 제도화하는 시금석이 될 수 있다”며 “구조개선의 한계를 가진 노후 주거지에 실질적 대안을 제공하고, 고령자·장애인·아동 등 취약계층을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도시 기반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달 24일과 이달 2일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부산 지역 아파트에서 잇따라 화재가 발생해 4명의 아동이 숨졌다. 지난 13일에는 북구 한 아파트에서 불이 나 80대 노모와 50대 큰아들이 목숨을 잃었다.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

부산온나배너
부일영화상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