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이 속도를 내면서 추후 임직원과 가족들이 거주하게 될 아파트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진다.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이전 때처럼 ‘특별 공급’ 형태의 제도적 지원이 마련될 가능성이 높은데, 부산 부동산 시장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는 대연혁신도시가 유사한 형태로 하나 더 만들어질지 관심이 커진다.
24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3일 해수부 관계자들을 만나 ‘제1회 해수부 이전 정책협의회’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서는 해수부 직원들의 주거, 보육, 교육 등 정주 여건을 중심으로 실질적 지원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앞서 국민의힘 곽규택 의원은 ‘해양수산부 등의 부산 이전 및 해양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별법’을 지난 16일 발의했다. 이 법안에는 과거 정부종합청사가 서울에서 세종으로 이전할 때 마련됐던 주택 특별 공급과 이주 정착 지원금, 교통비 보조 등의 지원 방안이 담겼다.
부산시 관계자는 “특별법이 조속히 통과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는 한편, 주거에 관련해 법령이나 조례를 개정해서 신속히 처리할 수 있는 부분이 있는지 들여다보고 있다”며 “해수부 측에서 당장 요청하는 건 오피스텔 등 주거 임대 부분이다. 점차 논의를 확장해 나가며 특별 공급이나 주택 매입 등을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북항이 유력 부지로 손꼽히는 해수부 신청사는 완공까지 앞으로 3~4년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신청사로의 출근과 비슷한 시점에 입주할 수 있는 아파트가 있다면 해수부 임직원들에게는 금상첨화다.
이 같은 시기를 고려하면 내년 분양하는 신축 아파트 단지가 특공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분양 시기나 특혜 우려 등을 생각할 때 올해 하이엔드 아파트들은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다자녀, 신혼부부, 중소기업 장기근속자 등으로 돼 있는 특별 공급 대상자에 ‘이전 공공기관 대상자’를 추가하는 방식이 거론된다. 과거 BIFC를 비롯해 부산 이전 공공기관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특공도 이와 유사한 형태로 이뤄졌다.
이런 상황에서 주목을 받는 곳 중 하나는 남구 우암동 옛 부산외대 부지 공동주택 개발 사업장이다. 10년 넘게 방치된 옛 부산외대 부지를 2458세대 대단지 아파트로 개발하면서, 인근 부지에 시민을 위한 문화복합센터를 짓고 1200억 원의 기여액을 내는 ‘공공기여협상제’로 개발되는 곳이다.
부산외대 부지 개발 사업은 이르면 내년 상반기께 분양에 돌입해 시기가 맞아 떨어진다. HMM 등 해운기업이 부산으로 이전할 경우 1순위로 거론되는 부지가 우암동인 만큼 상징성을 갖췄고 북항으로의 접근성도 우수한 편이다. 이 사업은 2030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부산시민공원 주변 재정비 촉진1구역 재개발이나 민락동 옛 부산 MBC 부지 주택 개발 사업 등도 이르면 내년께 분양을 할 가능성이 있어 대상지로 언급된다. 대연8구역 재개발 사업도 대단지인데다 북항 등 접근성이 좋아 가능성을 점쳐볼 수도 있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해수부 임직원이 입주한다는 것만으로 해당 단지나 지역에 호재가 될 수 있다”며 “대연혁신도시가 성공한 만큼, 해수부 직원들 주택 수요에도 관심이 집중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 ,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