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금정지역위원장 대행을 맡고 있는 이재용 금정구의원이 최근 5년 치 금정구청 대회의실 사용 내역 등의 자료를 요청한 것을 두고 논란이 인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부산지역본부 금정구지부 온라인 게시판에는 을지훈련으로 인해 업무 부담이 큰 상황에 이러한 요구를 한 것은 갑질이라는 글이 올라왔으며 국민의힘 부산시당은 “최근 사회적 비난을 받으며 장관 후보에서 낙마한 민주당 강선우 국회의원의 부산 버전”이라고 힐난했다. 이에 이 의원은 “구의원으로서 당연한 책무였다”면서도 “업무에 과도한 부담을 드린 부분에 대해서는 면밀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해명했다.
21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이 의원은 지난 18일 금정구청에 최근 5년간 대회의실 사용 내역과 허가 근거 등의 자료를 요청했다. 이 같은 자료 요구는 앞서 금정구청이 금정주민대회 측으로부터 대회의실 사용 신청을 받았으나 청사 사용 용도에 장애가 되고 부서의 사용과 겹칠 수 있다 는 등의 이유로 거절했기 때문이다. 이 의원은 금정구청의 이러한 결정이 부당한 차별적 결정이라고 판단했다.
그러나 이를 두고 금정구청 내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한 공무원은 지난 19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부산지역본부 금정구지부 온라인 게시판에 ‘바쁜 시기에 사람도 없는데 이게 무슨 요구자료입니까?’라는 글을 통해 “개인적 감정으로, 보복성으로 요청하는 게 요구자료인가”라며 “달라고 하면 하루 만에 뚝딱 나오는 게 5년 치 자료인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게 갑질이고, 폭력이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이에 이 의원은 구청 공무원들을 겨냥해 ‘갑질 행위’라며 비난하는 글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게시하기도 했다. 그는 “온갖 단체들이 대회의실을 회의 장소로 사용한다. 단 하나 ‘금정주민대회’만 빼고”라며 “나라의 녹을 먹는 당신들이 한 짓이 갑질이라는 생각은 안하는가”라고 비판했다. 이어 “주민에게 정치적 잣대를 들이대고, 주민을 취사선택하여 갈라치고, 그렇게 알량한 권한으로 주민을 위해 존재하는 공공시설을 지극히 자의적으로 사용했다”며 “당신들이야 말로 공무원의 자리에서 금정구민에게 갑질을 한 것”이라고 했다. 해당 글은 현재 내려간 상태다.
이처럼 이 의원의 자료 요청을 두고 파장이 일자 국민의힘 부산시당은 즉각 공세에 나섰다. 국민의힘 부산시당은 21일 논평을 내고 “‘을지훈련’으로 업무 부담이 큰 상황에 무리한 자료 제출을 해달라는 요청받은 공무원들이 노조 게시판에 갑질을 언급하며 불만을 제기하자, 이 직무대행이 역으로 금정구민을 운운하며 ‘알량한 권한’이라는 표현까지 쓰면서 공무원들을 비난한 것”이라며 “구의원이라는 직책을 남용해 보복식의 무리한 요구를 하고, 불만을 제기하는 공무원들을 공개적인 폭언으로 압박하는 것은 명백한 갑질 행위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사회적 비난을 받으며 장관 후보에서 낙마한 민주당 강선우 국회의원의 부산 버전이다”며 “민주당 부산시당은 공무원 집단을 폄훼하고 권력을 이용해 공개적으로 비난한 갑질 지역위원장 직무대행을 사퇴시키고 금정구청 공무원들과 금정구민께 사죄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 같은 후폭풍이 이어지자 이 의원은 금정구청 공무원 노조 게시판의 글을 통해 “7층 대회의실 사용 관련하여 아주 많은 단체들이 회의 용도로 사용하고 있음에도 '금정주민대회'만 거부를 한 것에 대해 부당한 차별적 결정이라고 판단했다”며 “주민의 대표인 금정구의회 의원으로서 금정구청의 부당한 차별적 결정에 대해 그 결정에 이르게 된 제반 자료들을 요청하는 것은 저의 당연한 책무다”고 설명했다. 다만 “대관이 빈번한 대회의실에 대한 사용 내역이 정리된 자료가 있을 거라 생각해 담당부서에 5년간의 사용 내역 자료를 요청했으나 이후 사용 내역이 정리된 자료는 따로 없고 그동안 사용 신청을 했던 많은 공무원들께서 이 자료를 직접 만들고 있다는 상황을 뒤늦게 알게 됐다”며 “자료 제출에 대해 의회와 집행부 간에 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생긴 일로서 현안 업무에 바쁘셨을 텐데 본의 아니게 업무에 부담을 드려 송구스럽다”고 사과했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