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누리상품권 매출데이터, 소상공인에 리포트로 제공

입력 : 2025-09-18 10:55:27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중기부, 소진공 조폐공사 등과 개선회의
상인간 거래금지 등 국회발의안도 논의
소비자·소상공인 연결 플랫폼 발전 제안

종이형 온누리상품권. 홈페이지 종이형 온누리상품권. 홈페이지

정부는 온누리상품권을 단순 결제수단을 넘어 소비자에게는 가맹점 상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소상공인에게는 경영분석 리포트를 제공하는 등 데이터 기반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8일 대전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본부에서 외부 전문가, 한국조폐공사(디지털 상품권 운영사),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함께 ‘온누리상품권 제도 개선 회의’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온누리상품권 부정유통 방지 대책과 온누리상품권 운영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회의는 먼저 지난해 발표한 온누리상품권 종합 개선방안 점검으로 시작됐다. △지류상품권 구매·환전 한도 축소 △FDS(이상거래탐지시스템) 고도화 △월별 현장점검 등이다.

또 현재 국회에 발의된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개정안도 논의했다. 개정안 내용은 온누리상품권 상인간 거래 금지, 상품권 재판매 금지, 부당이득 환수, 과태료 및 포상금 지급 등이다.

이어 온누리상품권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앱 서비스를 고도화해 △가맹점 검색 기능 개선 △학습형 챗봇 민원응대 UI·UX 개선 △테마별 가맹점 안내 등의 방안도 논의됐다.

특히, 소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소비자에게는 카드사·포스 데이터와 연계한 맞춤형 가맹점·상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해 구매 편의성을 높이고, 소상공인에게는 업종·지역별 매출 데이터를 바탕으로 경영분석 리포트를 제공하는 방안도 제안됐다.

이를 통해 온누리상품권은 단순 결제수단을 넘어 소비자와 소상공인을 연결하는 데이터 기반 플랫폼으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최원영 중기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온누리상품권은 지역경제를 살리는 대표 정책수단”이라며 “부정유통을 원천 차단하고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 해 소상공인과 소비자가 모두 신뢰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도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부산온나배너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