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80만 명 찾는 국립해양박물관, 안전·보건·재난 대응 담당인력 단 1명”

입력 : 2025-10-22 20:36:33 수정 : 2025-10-22 21:14:13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인명 안전과 문화재 보존 책임 지닌 기관
1급 소방안전관리 대상이자 공중이용이설
“상시 소방 전문인력 배치 등 안전역량 강화 시급”

국립해양박물관 전경. 국립해양박물관 제공 국립해양박물관 전경. 국립해양박물관 제공
광복 80주년과 해군 창설 80주년을 기념해 부산 영도구 국립해양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기획전시 ‘수군, 해전’에서 관람객들이 전시 유물을 살펴보고 있다. 전시는 오는 26일까지 계속된다. 정대현 기자 jhyun@ 광복 80주년과 해군 창설 80주년을 기념해 부산 영도구 국립해양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기획전시 ‘수군, 해전’에서 관람객들이 전시 유물을 살펴보고 있다. 전시는 오는 26일까지 계속된다. 정대현 기자 jhyun@

연평균 80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공공기관인 국립해양박물관(부산 영도구 소재)에 안전·보건·재난 대응 담당인력은 단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소속 국민의힘 서천호 의원(경남 사천·남해·하동)은 22일 국회 농해수위의 국립해양박물관 국정감사에서 “국립해양박물관은 연평균 80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시설임에도 안전·보건·재난 대응을 담당하는 인력이 단 1명에 불과하다”며 “국민의 안전과 문화유산 보호를 위해 전담 인력 확충과 안전관리 체계 고도화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서천호 의원이 22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해양경찰청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서천호 의원실 제공 국민의힘 서천호 의원이 22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해양경찰청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서천호 의원실 제공

국립해양박물관은 2012년 개관 이후 누적 관람객이 1151만 명에 달하며, 2024년 한 해에만 80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등 부산시민들과 관광객들이 자주 찾는 명소로 자리잡았다.

서 의원은 “현재 한 명의 인력이 안전·보건·재난 등 전반을 담당하고 있어 재난 대응에 한계가 있다”며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안전관리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립해양박물관은 인명 안전과 문화재 보존이라는 이중 책임을 지닌 기관으로, 일반 시설보다 높은 수준의 전문성과 대응 체계가 요구된다”며 “상시 소방 전문인력 배치, 비상대응 매뉴얼 정비, 재난 대응 인프라 확충을 통해 현장 안전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 의원은 “국립해양박물관은 연면적 2만 5894㎡의 1급 소방안전관리 대상이자 공중이용시설로서, 안전 전담 인력 확충과 분야별 전문관리 체계 도입, BTL 사업(임대형 민자사업) 종료 이후 시설 인수 대비 안전관리 인력 확보 등 종합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금정산챌린지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