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일 국립공원위원회를 통과하고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부산 금정산 전경. 부산시 제공
				
				31일 국립공원위원회를 통과하고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부산 금정산 전경. 부산시 제공
				
			부산 금정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시민사회와 환경단체들이 잇따라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번 지정을 계기로 금정산국립공원이 도심 속에서 생태 보전과 지역 발전의 균형을 이루는 지속 가능한 국립공원 모델로 발전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금정산국립공원시민추진본부는 부산과 양산 전역 주요 도로변에 환영 현수막 300여 개를 내걸고 경축 행사를 준비 중이라고 31일 밝혔다. 추진본부 관계자는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은 부산시민의 열정으로 이뤄낸 부산의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시민이 주체가 돼 금정산의 가치를 지키고 가꿔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지속가능발전협의회도 다음 달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축하 기념 정화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시민들도 환영의 뜻을 전했다. 최근 금정산을 찾은 남 모(31) 씨는 “주말마다 금정산을 오르며 자연을 느꼈는데,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니 뿌듯하다”며 “앞으로도 자연이 잘 보전되면서도 시민들이 편하게 즐길 수 있는 공원으로 발전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부산 환경단체들도 일제히 환영 입장을 밝혔다. 부산환경운동연합 노현석 공동사무처장은 “금정산의 생태적 가치가 국가 차원에서 인정받은 것은 큰 의미가 있다”며 “지정 이후에는 체계적인 탐방 관리와 보전 대책을 마련해 진정한 ‘도심 속 국립공원’으로 자리 잡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동시에 국립공원으로써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도심 속 첫 국립공원으로서 향후 다양한 민원과 이해관계가 예상되는 만큼 국립공원관리공단·환경단체·시민이 긴밀히 소통하며 문제를 조율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국립공원 지정이 단순한 ‘간판 달기’에 그치지 않으려면 지역사회가 주도하는 관리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사)범시민금정산보존회 유진철 회장은 “생태 보전과 이용이 조화를 이루려면 지방정부, 환경단체, 주민이 함께하는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며 “행정이 주도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이 직접 주체로 참여하는 관리·협력 구조를 만들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 ,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