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구원이 국립공원공단의 의뢰를 받아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에 따른 경제적 가치 평가 연구’를 수행한 결과, 경제적 가치는 연간 3152억 9000만 원으로 추산됐다. 휴일인 2일 많은 등산객들이 금정산 고당봉이 보이는 북문 광장을 지나가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부산 도심 한가운데 위치한 금정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생태 보전과 시민 삶의 질 향상을 동시에 도모하는 ‘도심형 국립공원’의 새로운 모델이 탄생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역사회는 이번 결정을 부산 시민 20년 염원의 결실이라며 환영하는 한편, 난개발을 경계하고 지속 가능한 관리 체계 구축도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첫 도심형 국립공원
금정산국립공원은 기존 23개 국립공원과 달리 도심에 자리 잡고 있다. 금정산 경계를 따라 거의 모든 면에 주거지나 번화가 등 시가지가 형성돼 있다. 이에 이번 국립공원 지정은 자연 보전 중심인 기존의 패러다임뿐만 아니라 도시 경쟁력과 지역 경제 활성화까지 포괄하는 ‘도심형 국립공원’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사)범시민금정산보존회 유진철 회장은 “금정산은 접근성이 좋은 도심 속 산으로 시민들이 언제든 찾을 수 있다는 게 특장점”이라며 “국립공원 지정으로 탐방 인프라가 정비되고 환경 관리가 강화되면 시민들에게 더 사랑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앞으로 금정산은 국립공원공단이 통합 관리하게 된다. 기존에는 부산시와 경남도, 경남 양산시, 그리고 부산 부산진구·연제구·동래구·북구·금정구·사상구 등 6개 자치구 등 9개 광역·기초 지자체가 각각 구역과 역할을 나눠 분절적으로 관리해 왔다. 앞으로는 국립공원공단으로 관리 주체가 일원화되고, 국가 예산이 투입되면서 탐방로 정비와 안전·편의시설 확충, 생태복원 사업 등이 원활하게 추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제적 파급효과도 예상된다. 부산연구원이 국립공원공단의 의뢰를 받아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에 따른 경제적 가치 평가 연구’를 수행한 결과, 경제적 가치는 연간 3152억 9000만 원으로 추산됐다. 이는 연간 이용 가치(631억 3000만 원)와 보존 가치(2521억 6000만 원)를 합한 금액이다. 미래에도 이 가치가 보존된다고 가정하면 총 자산가치는 6조 6200억 원이 이르겠다고 연구원은 평가했다. 국립공원 지정 이후 부산의 대표 관광자원으로 자리 잡는다면 이 가치는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금정산을 찾는 탐방객 수는 약 28% 증가할 전망으로, 매년 400만 명 이상이 방문할 것으로 예측된다.
기후부와 부산시는 금정산을 ‘생태관광·교육 거점’으로 특화하고 지역사회가 참여하는 도심형 생태관광 모델을 육성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환경 해설과 교육 프로그램을 연계해 관광 수익이 지역사회로 환류되는 지속 가능한 운영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부산의 결실, 지속 가능한 관리를”
시민사회와 환경단체들은 금정산국립공원 지정 소식에 잇따라 환영의 뜻을 밝혔다. 금정산국립공원 지정에는 20년 전부터 이어진 시민사회의 염원과 꾸준한 지정 운동이 있었다.
금정산국립공원시민추진본부는 부산과 양산 전역 주요 도로변에 환영 현수막 300여 개를 내걸고 경축 행사를 준비 중이라고 2일 밝혔다. 추진본부 관계자는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은 부산 시민의 열정으로 이뤄낸 부산의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시민이 주체가 돼 금정산의 가치를 지키고 가꿔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지속가능발전협의회도 다음 달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축하 기념 정화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부산 환경단체들도 일제히 환영 입장을 밝히면서, 국립공원으로써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도심 속 첫 국립공원으로서 향후 다양한 민원과 이해관계가 예상되는 만큼 국립공원관리공단·환경단체·시민이 긴밀히 소통하며 문제를 조율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부산환경운동연합 노현석 협동사무처장은 “식당, 숙박업소, 케이블카 등 개발 논리가 관광객 유치나 약자를 앞세워 추진되는 등 주객이 전도돼서는 안 된다”며 “국립공원 지정의 취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이번 지정을 시민과 종교계, 환경단체, 민간이 함께 이뤄낸 새로운 역사로 평가했다. 시 낙동강미래기획단 옥창민 단장은 “길게는 20년 동안 국립공원 지정이 불가능하다는 회의론 속에서도 시민사회가 끝까지 힘을 모았다”며 “공공정책의 모범 사례로 남을 만한 결실”이라고 평가했다.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 , 손희문 기자 moonsl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