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적기 놓친 안타까운 죽음… 부산, 전국 세 번째로 많아

입력 : 2025-08-27 18:51:21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2023년 인구 10만 명 기준
치료가능 사망률 49.47명
충북·인천 다음 높은 수치
울산은 36.93명 전국 최저
지역 간 의료 불균형 방증
공공·필수의료 확충 시급

이미지투데이 이미지투데이

제때 치료를 받았다면 피할 수 있었던 사망이 2023년 부산에서는 인구 10만 명당 49명꼴로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 부산은 전국에서 세 번째로 치료가능 사망률이 높았는데, 가장 사망률이 낮은 지역인 울산과의 격차는 12.54명이었다.

27일 국민의힘 백종헌 의원실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부산 지역의 인구 10만 명당 치료가능 사망률은 49.47명이었다. 전국 17개 시도 중에서 세 번째로 치료가능 사망률이 높고, 전국 평균(45.36명)보다 높다.

치료가능 사망은 감염, 뇌혈관 질환, 모성사망 등 11개 그룹 57개 질환군에 대해 치료가 시의적절하게 효과적으로 이뤄진다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조기 사망을 의미한다. 심장질환, 뇌졸중 등이 원인인 비율이 높아, 지역 주민의 응급 의료 접근성 등을 나타내는 지표로도 활용된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2023년 치료가능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충북으로, 이곳의 치료가능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49.94명으로 나타났다. 이어 인천(49.59명), 부산, 강원(49.26명), 전북(48.14명), 전남(47.57명), 충남(46.39명), 대구(45.86명), 제주(45.67명), 광주(45.54명) 등 순으로 높았다.

치료가능 사망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울산이었는데, 인구 10만 명당 36.93명으로 나타났다. 17개 시도 치료가능 사망률의 산술평균은 45.36명인데, 이보다 사망률이 낮게 나타난 곳은 울산을 포함해 서울(39.55명), 세종(40.98명), 대전(41.81명), 경기(42.32명), 경남(44.27명) 등이었다.

치료가능 사망률이 가장 낮은 지역과 가장 높은 지역 간 격차는 매년 등락이 있지만 크게 개선되지는 못하고 있다. 1위와 17위 시도 간 치료가능 사망률 격차는 2019년 충북-서울 11.47명, 2020년 충북-세종 16.22명, 2021년 인천-서울 12.93명, 2022년 충북-세종 15.14명, 2023년 충북-울산 13.01명 등으로 나타났다.

부산은 2005년 치료가능 사망률이 인구 10만 명당 100.4명에 달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었으나, 이후 대체로 감소해 2010년대 중반에 들어서 최근까지는 40~50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17개 시도 중 치료가능 사망률이 높은 축에 속한다. 치료가능 사망률이 낮은 축에 드는 서울과 비교해 보면 2023년 격차는 9.92명으로 나타났다.

백 의원은 “지역별로 치료 가능 사망률이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우리 의료 체계가 지역별로 균형 있게 작동하지 못하고 있다는 경고 신호”라며 “거주지와 관계없이 시의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권역별 공공병원 확충, 필수의료 인력 지원 등 지역 의료 강화 대책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는 국내 치료가능 사망률이 OECD 국가와 비교해 낮은 편이지만, 지역 의료 서비스의 적정성 등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부산대 의대 예방의학과 윤태호 교수는 “부산은 치료 가능 사망률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총 사망률 자체가 높은 지역이기도 하다”며 “국내 전체 사망 중 치료가능 사망률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고, 선진국에 비해서도 낮은 편”이라고 밝혔다. 그는 “다만 급성 심근경색이나 허혈성 심질환, 뇌졸중 등 응급성 질환이 대부분을 차지해 응급의료 적절성 등을 살펴보는 자료가 될 수 있다”며 “치료가능 사망과 함께 회피가능 사망에 포함되는, 예방가능 사망 또한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

부산온나배너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