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직원들, 부처 기능 강화 논의 지지부진에 더 큰 실망” 윤병철 해수부 노조 위원장

입력 : 2025-08-28 19:37:00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79주년 창간기획] 부산, 대한민국 해양수도

단순한 청사 부산 이전 아니라
해양수도 건설 책무 주어지는 일
해수부에 거는 기대감 커지는데
업무 이관·2차관 신설 논의 없어
9월 구체적 이주 지원책 나와야
본청사는 업무·정주 환경 고려를

국가공무원 노동조합 해양수산부 지부 윤병철 위원장은 해수부의 기능 강화는 곧 직원들의 사기와 연관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종진 기자 국가공무원 노동조합 해양수산부 지부 윤병철 위원장은 해수부의 기능 강화는 곧 직원들의 사기와 연관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종진 기자

“해양수산부 직원들은 이주 지원만큼이나 중요하게 생각하는 해수부 기능 강화 논의가 지지부진한 것에 더 큰 실망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27일 부산을 찾은 길에 〈부산일보〉와 단독 인터뷰에 나선 윤병철 국가공무원 노동조합 해수부 지부 위원장(이하 위원장)은 예상치 못한 말을 내놨다. 윤 위원장은 해수부 이전 결정 초기 해수부 직원들이 반발이 우려되던 시점에 후보자 신분이던 전재수 해수부 장관을 만난 자리에서 해수부 이전에 전격 동의하며 해수부 부산 이전 논란에 마침표를 찍은 인물이다. 최근 전 장관도 “해수부를 12월 31일까지 이전하겠다”고 공언하며 내년 1월 1일부터 ‘해수부 부산시대’를 예고했다.

하지만 해수부 직원 고민이 날이 갈수록 깊어진다는 게 윤 위원장의 전언이다. 윤 위원장은 “해수부 임직원들이 부처를 부산으로 옮긴다고 동의하면서 부처에 거는 기대감이 커지는데 정작 해수부 기능 강화 논의는 지지부진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실망감은 해수부 이전 논의 초기보다 더 크다는 것이다.

그는 해수부 내부에서는 부산 이전이 단순한 부처 이전이 아니라 해양수도 건설이라는 책무가 주어지는 일로 판단한다고 전했다. 윤 위원장은 “해수부 직원들이 큰 책무를 짊어지게 됐지만 정작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전제조건인 조선·해양플랜트 업무 이관, 2차관 신설 등의 논의는 큰 진전이 없다”고 우려했다. 실제 여야도 해수부 연내 부산 이전을 위한 특별법안을 각각 발의했지만, 소관 상임위를 두고 신경전을 벌이며 후속 진행 과정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윤 위원장은 “국민들과 부산 시민이 해수부 부산시대에 거는 기대는 ‘부산엑스포’ 이상일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직원들은 논의 초반에는 삶의 터전을 옮기는 부담감이 있었지만, 지금은 기능 강화 없이 기대만 높아진 상황에 가지는 부담이 더 크다”고 설명했다.

해수부 직원들의 우려는 우여곡절을 겪은 해수부 역사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청사 이전에 그칠 경우 과거처럼 해수부가 다시 쪼개지거나 타 지역으로 다시 옮겨가는 일을 반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윤 위원장은 “만약 청사만 이전하는 모양새가 된다면, 같은 논리로 ‘수산 쪽은 우리한테 줘라, 물류는 우리 지역에 줘라’ 등의 요구가 나올 수 있다”며 “특히나 해수부 직원들은 해수부의 해체와 부활 등을 겪어 와 이번 기회에 힘을 가진 해수부가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기능 강화는 직원 사기 문제다”고 말했다. 이어 “주요 업무 등이 이관되지 못하면 곧 해양수도 건설도 실패로 돌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위원장은 원활한 직원 이주를 위해 늦어도 다음 달까지는 구체적인 이전 방안이 발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해수부는 직원들을 상대로 이주 인원 조사한 결과, 직원 850여 명 중 180명가량이 가족과 함께 이주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해수부 직원 바람과는 달리 이전 지원안은 아직 부재한 상태다. 여기에 본청사 부지 문제에 대해서는 직원 업무 효율성과 정주 여건이 고려돼야 한다는 의견도 내놨다. 윤 위원장은 “적어도 9월에는 구체적 이주 지원 방안이 나와야 한다”며 “본청사 위치도 출장이나 출퇴근 등 직원들의 업무·정주 환경 등을 다각도로 고려한 지역이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부산온나배너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