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지하철 노사, 내년 임금 3% 인상 잠정 합의

입력 : 2025-09-16 21:33:10 수정 : 2025-09-16 21:46:20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6시간 마라톤 협의 끝 극적 타결
임금 3% 인상 등 합의 이뤄져
17일 예고된 파업도 철회 수순

부산교통공사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부산지하철노동조합 임금·단체협약 모습. 부산교통공사 제공 부산교통공사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부산지하철노동조합 임금·단체협약 모습. 부산교통공사 제공

부산 지하철 노사가 장장 9시간에 달하는 마라톤 협상 끝에 올해 임금·단체협약(임단협)에 잠정 합의했다. 이에 따라 17일 예고됐던 총파업도 철회될 전망으로 ‘교통대란’ 우려 또한 해소됐다.

16일 부산교통공사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부산지하철노동조합에 따르면, 부산 지하철 노사는 이날 오후 9시 10분 노포차량기지에서 올해 임단협에 잠정 합의했다. 오후 3시 교섭을 시작한 지 약 6시간 만이다.

양측은 당초 노조 측이 핵심 요구안으로 제시한 임금 3% 인상, 통상임금 확대에 따른 법정수당(증가분) 별도 지급, 현행 공무원과 동일한 기준의 가족수당 지급 등 19개 안건에 대해 합의했다.

앞서 노사 양측은 지난 5월 29일부터 13차례 협상을 이어왔지만, 임금·인력 문제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이에 노조 측은 이날 교섭마저 결렬될 경우 17일 첫 차부터 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선포했다. 공사 측은 16일 오후 3시부터 비상운영체제를 가동하며 교통대란에 대비하고 나섰다.

줄 달리기 양상을 띤 협상은 이날 양측이 대부분 조건에 대해 합의하며 급물살을 탔다. 오후 6시 기준 임금 3% 인상과 통상임금 확대에 따른 법정수당 별도 지급에 대해 합의가 이뤄졌다.

한때 교섭이 결렬될 위기도 있었다. 이날 오후 3시 교섭에 이병진 부산교통공사 사장이 불참한 것을 두고 노사 양측이 신경전을 벌였고 오후 5시 35분께 실무진 협상이 재개됐다.

인력 확충에 대해서는 노조가 한발 물러섰다. 당초 노조 측은 도시철도 양산선(부산 노포~양산 북정) 개통을 앞두고 인력 81명 증원을 요구했다. 그러나 공사는 4000억 원대 적자 상황과 직제상 운영 문제 등을 이유로 인력 증원은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노조도 공사가 말하는 재정 문제에 대해 공감해 인력 확충 건에 대해 철회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부산지하철노동조합 관계자는 “재원 확보가 어려운 탓에 인력 확충은 반영되지 않았다”며 “노조 내 대의원 대회에서 통과가 되면 최종적으로 합의서를 작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산교통공사 이병진 사장은 “이번 잠정합의는 노사가 시민을 최우선으로 두고 교섭에 임해 거둔 결실”이라며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타협하며 노사 화합을 위해 노력한 모든 구성원께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

부산온나배너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