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석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이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국립중앙박물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김건희 여사의 경복궁 근정전 어좌 착석 의혹과 관련한 더불어민주당 양문석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측이 지난 2023년에 찍힌 것으로 추정되는 경복궁 근정전 어좌 착석 의혹과 관련된 사진이 공개되자, “적당히 하라”고 경고했다.
윤 전 대통령 부부의 법률 대리인 유정화 변호사는 25일 페이스북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실 모 팀의 사진 담당이었던 A 씨가 현재 김 여사와 관련해 업무상 찍어뒀던 타인 보관의 경복궁 등 사진들을 악의적으로 더불어민주당과 진보 매체에 제공한다는 다수의 소식을 들었다"고 밝혔다.
이어 "직접 목격자도 확보했다"며 "사진 유포자인 A 씨의 인적 사항과 A 씨의 형이 여권 정치인 B 씨와 밀접한 관계라는 점을 파악해 놓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업무상 입수한 과거 정권 사진을 악의적으로 유포하는 것이 당신 개인의 삶에 어떤 법적 결과를 가져올지 잘 생각해 보는 게 좋겠다"며 법적 조치를 예고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2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 여사가 2023년 경복궁 방문 당시 '왕의 의자(용상)'에 앉았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문체위 여당 간사인 임오경 의원이 국가유산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김 여사는 2023년 9월 경복궁 방문 당시 출입이 제한되는 근정전 내부로 들어가 용상(어좌)에 착석한 것으로 파악됐다.
당시 김 여사는 일반 관람객이 없는 휴궁일에 경복궁을 방문해 근정전, 경회루, 흥복전을 둘러보며 약 2시간가량 머문 것으로 파악됐다.
이날 방문에는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과 최응천 전 국가유산청장, 대통령실 문화체육비서관실 직원과 경호 요원 등이 동행했다.
박정미 부산닷컴기자 likepe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