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지역화폐 ‘동백전’ 도입 이후 5년간 총 사용액 9조 원 가운데 약 23.5%인 2조 1991억 원이 병원과 학원비에 집중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원래 취지인 지역 소상공인 지원과는 거리가 있어 제도 개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업종별 캐시백 비율을 조정하고,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는 등 효과적인 운영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큽니다.
|
|
|
|
지역 소상공인을 살리겠다는 취지에서 2020년 도입한 부산 지역화폐 동백전(사진)이 그동안 학원·병원비에만 전체의 23%가 넘는 2조 1991억 원이 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재명 정부가 지역화폐를 지역 상권 살리기의 첨병으로 꺼내든 만큼 동백전이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
|
|
|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이 속도를 내면서 추후 임직원과 가족들이 거주하게 될 아파트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진다.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이전 때처럼 ‘특별 공급’ 형태의 제도적 지원이 마련될 가능성이 높은데, 부산 부동산 시장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는 대연혁신도시가 유사한 형태로 하나 더 만들어질지 관심이 커진다.
|
|
|
|
부산 항만 일대를 관광·문화 복합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북항 재개발 사업을 비리로 얼룩지게 만든 공기업 간부, 민간 개발업자, 브로커 등이 무더기로 재판에 넘겨졌다. 국내 최초이자 최대 항만 재개발 부지에 생활숙박시설 등을 성사하기 위해 100억 대의 ‘검은돈’이 오갔고, 사업 평가위원 정보 등이 유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
|
|
|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24일 취임 일성으로 이재명 대통령 부산 공약인 해수부 이전, HMM 이전, 해사전문법원 유치, 동남투자은행 출범 등 4개 주요 과제를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하겠다고 공언했다. 전 장관은 이날 오전 취임식 직후 정부세종청사 해수부 기자실에서 첫 간담회를 갖고 “해수부가 연말까지 내려가고, HMM을 비롯한 해운 대기업, 해사전문법원, 동남투자은행 등 어느 것이 먼저다 할 것 없이 압축적·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
|
|
|
최근 부산에서 연이어 발생한 아파트 화재로 안타까운 인명 피해가 잇따르면서 여름철 에어컨 사용 폭증 등으로 인한 화재 우려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유독 올해 에어컨 화재로 인한 사망 사고가 급증하면서 냉방기기 장시간 사용, 전기설비 과부하, 주거 구조의 한계 등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 | | |
오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
솔직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
만족해요
아쉬워요
|
|
|
|
부산일보가 취재해서 밝혀주길
바라는 내용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물론 응원 메시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
나의 의견 전송하기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