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모으는 수도권 주택 정책, 못 따라가는 부산

입력 : 2024-08-14 20:31:00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서울 ‘반값 전세’ 연간 4000호
인천 ‘천원 주택’ 매년 1000호
신혼부부에 파격적 주택 공급
부산 ‘럭키7’ 4년 300호 그쳐
청년 인구 유출 심화될 가능성

청년주택. 연합뉴스 청년주택. 연합뉴스

서울시와 인천시 등 수도권 지자체가 ‘반값 전세’ ‘천원 주택’ 등 파격적인 주택 공급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지역과 달리 달아오른 부동산 경기가 수월한 공급 배경으로 풀이된다. 부산은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주택 정책이 기존 안을 답습하는 수준이어서 인구 유출이 심화될 가능성마저 제기된다.

서울시는 최근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을 위해 연간 4000호의 임대주택을 공급하겠다는 ‘장기전세주택Ⅱ’ 정책을 발표했다. 출산이나 결혼을 계획 중인 이들에게 큰 호응을 얻은 오세훈표 주택정책 ‘시프트’의 두 번째 버전이다.주택을 주변 시세의 50% 수준인 ‘반값 전세’로 제공하고 아이를 낳으면 최장 20년까지 거주 기간을 늘려준다. 아이를 2명 낳으면 20년 이후 살던 집을 시세보다 10% 싸게 살 수 있다.

서울시는 자체 재원으로 반값 전세를 제공할 예정이다. 그러나 부동산 활황에 대규모 재건축이 이어져 공공기여로 임대주택 확보도 용이한 상황이다.

인천시도 신혼부부를 위해 주택을 하루 임대료 1000원에 제공하는 ‘천원 주택’을 연간 1000호를 공급할 예정이다.

인천시는 이 밖에도 대출이자 중 1%만 본인이 내고 나머지는 시가 부담하는 ‘1% 이자 주택’을 연간 3000호 공급한다. 인천시는 천원 주택과 1% 이자 주택 공급에 매년 100억 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현재 ‘럭키7’이라는 신혼 주택 공급 정책을 유지 중이다. 행복주택이나 임대주택 가운데 일부를 신혼부부에게 무상으로 임대하고 25만~30만 원의 임대료를 부산시가 부담하는 방식이다. 세대 당 재정 부담 규모는 인천의 1000원 주택과 비슷하다.

그러나 물량 면에서는 큰 차이가 있다. 부산의 럭키7은 2022년 100호, 2023년 70호, 2024년 66호 등 4년 간 공급 규모가 300호 수준에 불과하다.

부산시와 인천시는 연간 예산이 15조 원 규모로 비슷하다. 인천시의 재정 자주도 역시 66.4%(2024년 예산 기준)로 부산(63.2%)과 차이가 크지 않다. 그럼에도 부산시와 달리 인천시가 신혼주택 정책에 열을 올리는 건 ‘정치적 선택’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를 대대적으로 홍보하며 정치적 효과를 노리는 모습이다.

서울시와 인천시는 대상자의 소득·자산 조건도 파격적으로 낮췄다. 덕분에 서울시의 신혼부부 반값 전세 300가구 모집에 1만 7929명이 몰려 평균 59.8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부산시의 럭키7은 소득 기준이 까다롭고 입지도 제각각이어서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낮았다.

수도권의 파격적인 신혼주택 정책을 놓고 저소득층이 아니라 중산층 신혼부부에게 주거 혜택을 집중시킨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러나 지방의 단체장들이 저출생, 인구 감소 등의 위기에도 기존 주거 정책만 답습해 ‘청년 인구 지키기’ 경쟁에서 수도권에 뒤지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 박태우 기자 wideneye@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