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과 경남이 26일 기회발전특구로 추가지정됨에 지방 정부 주도의 파격적인 세제·제정 지원 등을 통해 부산과 경남지역에서 투자기업 유치와 관광산업·첨단산업 등 핵심 주력산업 육성에 청신호가 켜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6월과 11월 두 차례(제1·2차)에 걸쳐 부산·울산·경남 등 14개 비수도권 시·도에 기회발전특구를 지정한데 이어 ‘수시 신청·지정’ 원칙에 따라 이날 부산시와 경남도에 제3차 기회발전특구를 추가 지정했다. 이번 제3차 기회발전특구 지정 지역은 14개 비수도권 가운데 부산·경남 2개 시·도가 유일하다.
이번에 추가지정된 부산 기회발전특구는 총 57만 5000평(189만 7100㎡) 규모로, △기장군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 일반산단’(16만 평) △기장군 ‘동부산 E-PARK 일반산단’(31만 2000평) △강서구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미음지구’(10만 3000평) 등 3개 지역(지구)이다. 특히 기장군 내 1개 지구(‘동부산E-PARK 일반산단’)는 해당 산업단지에 대한 안정적 전력공급여건 마련(제11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 ‘선종교체사업’ 반영 등)을 조건으로 지정됐다.
이번에 ‘부산형 2차 기회발전특구’로 명명된 부산 기회발전특구에서는 전력반도체, 이차전지, 자동차부품 등을 주력산업으로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또 경남은 관광리조트, 수소 모빌리티 관련 기업들의 투자계획이 제시된 통영시·창원시 총 85만 1만 평이 기회발전특구로 추가지정됐다. 구체적으로는 통영시 ‘도산 복합해양관광단지’(67만 2000평)와 창원시 창원국가산업단지(17만 9000평) 등 2개 지구를 아우른다.
이번에 지정된 2개 시·도 기회발전특구에는 이미 착공을 시작한 투자 1조 6000억 원을 포함하면 약 7조 원에 육박하는 총 6조 9000억 원의 투자가 예상된다게 정부 설명이다. 투자기업도 50개를 훌쩍 넘을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6월에는 ‘부산 1호 기회발전특구’로, 부산 문현금융단지와 북항 재개발 2단계 지역 총 22만 7568평(75만 976㎡)가 ‘부산 금융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됐다. 이번 추가지정으로 부산지역 기회발전특구 면적은 총 80만 2447평(264만 8076㎡)으로 1차 지정 당시보다 4배 가까이 확대됐다. 경남에서는 지난 6월 ‘경남 1호 기회발전특구’로 고성 양촌·용정일반산업단지가 선정됐다.
이번 3차 지정(부산·경남 2개 시·도)으로 부산은 △동구·남구(금융) △기장군(전력반도체·이차전지 등) △강서구(자동차부품 등), 경남은 △고성(해상풍력 구조물) △통영(관광리조트) △창원(수소모빌리티 등)을 각각 묶는 기회발전특구로 범위가 각각 확장됐다.
특히, 부산은 기회발전특구를 구심점으로 핵심 주력산업(업종)을 제조업부터 첨단산업까지 확장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부산시의 미래 성장동력이며 먹거리산업인 전력반도체(소부장특화단지 연계), 이차전지(이차전지 앵커기업(금양) 연계), 자동차부품산업(지역 전통 주력산업)과 연계한 미래 신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부산 기장·강서 중심의 ‘부산형 2차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추진해 왔다”고 말했다.
기회발전특구 사업은 정부 주도가 아닌 지방 주도로 바텀업(Bottom-up) 방식으로 사업을 적극 발굴하고 기업투자 유인 및 지원책을 펼 수 있다는게 장점이다. 다만, 윤석열 정부의 핵심 사업 중 하나인 기회발전특구 사업이 윤 대통령의 탄핵정국으로 동력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현재 비수도권 14개 시·도에 기회발전특구가 지정된 상태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