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사기 여파…작년 HUG 2조 5000억 손실

입력 : 2025-04-03 09:26:13 수정 : 2025-04-03 15:42:27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2022년 이후 3년 연속 적자
대위변제액은 6조 940억 원

지난해 7월 부산지역 전세사기 피해자들이 전세사기 피해 1년을 맞아 부산경찰청 앞에서 부산경찰청의 신속한 수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정대현 기자 jhyun@ 지난해 7월 부산지역 전세사기 피해자들이 전세사기 피해 1년을 맞아 부산경찰청 앞에서 부산경찰청의 신속한 수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정대현 기자 jhyun@

전세사기 여파로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지난해 2조 5000억 원대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3일 HUG가 홈페이지에 공개한 ‘2024년도 결산공고’에 따르면 순손실은 2조 5198억 원으로 집계됐다.

3조 8598억 원 적자를 기록했던 2023년보다는 순손실액이 1조 3000억 원 이상 줄었다. 하지만 2022년 적자로 돌아선 뒤 3년 연속 적자를 지속했다. 최근 3년간 누적 순손실은 6조 7883억 원에 이른다.

2022년부터 전세보증사고가 급격히 늘어난 것이 순손실의 주원인이다.

지난해 HUG의 전세보증, 분양보증,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보증 등을 포함한 총 대위변제액은 6조 940억 원으로 전년(4조 9229억 원) 대비 23.7% 증가했다.

이 가운데 전세보증 가입 세입자에게 집주인 대신 내준 전세금은 3조 9948억 원이다.

이처럼 대위변제액이 전년 대비 증가했는데도 순손실 규모가 줄어든 것은 채권 회수 규모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HUG 관계자는 “적극적인 채권 회수 노력으로 지난해 채권 회수 금액이 1조 5186억 원으로 전년보다 9530억 원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채권 회수는 통상 1~2년이 걸려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급증한 전세사기 대위변제액 회수가 시작된 것으로도 추정된다.

HUG는 채권회수실적 개선과 함께 지난해 5월부터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의 담보인정비율을 기존 100%에서 90%로 낮추는 조치도 취해 올해는 재무 실적이 더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