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올해 글로컬대학 10곳을 추가 지정하며 사업을 마무리한다. 글로컬대학은 지방 소멸과 산업 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대학 혁신 사업으로, 선정된 대학엔 5년간 최대 1000억 원이 지원된다. 2023년 부산대·부산교대, 2024년 동아대·동서대에 이어 올해 글로컬대학에 선정되기 위한 부산 대학들의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교육부는 3일 ‘2025년 글로컬대학 지정 계획’을 발표했다. 당초 교육부는 올해 5곳, 내년 5곳을 나눠 지정할 예정이었지만, 일정을 앞당겨 올해 10곳을 한꺼번에 뽑기로 했다. 사업 기간이 길어지면서 대학 현장에 피로감이 쌓인 점을 고려했다. 올해 10곳이 추가되면 글로컬대학 30곳 지정이 모두 끝난다.
올해 지정 절차는 5월부터 본격 시작된다. 예비 지정 신청은 5월 2일까지다. 평가 항목은 △혁신성(60점) △성과 관리(20점) △지역 특성(20점)이다. 먼저 예비지정 대학 20곳 안팎이 선정된다. 예비지정 대학은 6~8월 지자체·지역 산업계와 함께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세워 8월 중 본 지정을 신청해야 한다. 이후 9월에 최종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2023년 시작된 글로컬대학은 학령인구 감소와 산업구조 변화라는 이중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국책 사업이다. 지역 대학과 지자체가 함께 설계한 혁신 모델을 정부가 심사해 지원하는 구조다.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대학 중 최대 30곳을 선정해 각 대학에 최대 1000억 원을 투입한다. 규제 완화도 함께 적용된다.
부산에선 2023년 부산대와 부산교대가 통합 모델을 제시해 처음으로 선정됐다. 지난해엔 동아대와 동서대가 연합대학 모델로 지정됐다. 같은 해 동명대와 신라대도 연합 모델로 예비지정까지 올랐으나 최종 지정엔 탈락했다. 다만 교육부는 예비지정 탈락 대학도 기존 계획을 보완하면 예비지정 지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
올해가 마지막 지정 기회인 만큼 부산 지역 대학들도 준비에 몰두하고 있다.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부서끼리 진행 상황을 공유하지 않는 대학도 있을 정도다. 부산의 한 사립대 관계자는 “예산 규모가 워낙 커 소멸 위기에 놓인 지역 대학 입장에서는 도전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이번에 기회를 잡지 못하면 장기간 대형 재정 사업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위기감도 크다. 지역 대학들에겐 생존이 걸린 문제”라고 말했다.
이상배 기자 sangbae@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