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금정구 노포동 일대가 침체된 여파로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은 지역 대표 관문 기능을 상실하고 유령 터미널로 전락한 실정이다. 이중삼중 규제로 묶인 곳이다 보니 돌파구 마련도 쉽지 않았다. 부산시가 노포역 일원 종합개발 마스터플랜을 통해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상수원보호구역을 해제하게 되면 애물단지 신세였던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을 복합환승센터로 개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3일 (주)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 따르면 노포동 버스터미널 이용객 수는 처음 문을 연 2001년 기준 5분의 1토막으로 줄었다.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이 노포동으로 자리를 옮긴 첫해인 2001년 승객 수는 고속버스 150만여 명, 시외버스 498만여 명에 달했다. 이후 꾸준한 감소세를 보여 지난해 승객 수는 고속버스 62만여 명, 시외버스 89만여 명이 됐다. 고속버스 승객 60%, 시외버스 승객 80%가 증발한 셈이다.
버스 노선도 줄었다. 처음 노포동에 문을 열었을 때 하루 846회 운영하던 시외버스 운행 횟수는 지난해 244회로 쪼그라들었다. 고속버스 1일 운행 횟수는 같은 기간 304회에서 130회로 줄어들었다. 노포동 개장 당시 기준 3분의 1 수준이다. 이용객이 줄면서 버스 운행 횟수와 노선이 줄고, 교통편이 감소하니 승객이 또 줄어드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이 끝난 이후에도 반전될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버스터미널 상가에 들어오려는 임차인도 없다. 상가와 점포를 포함해 2286㎡ 면적인 2층 대합실에는 상가 27곳이 있지만 8곳이 공실이다. 그중 2곳은 관리를 맡은 부산시설공단이 전시 공간 등으로 활용하고 있고, 6곳은 입찰을 진행 중이다. 부산시설공단은 버스터미널 관리를 맡은 2021년 9월부터 입찰을 시도하고 있다. 몇몇 점포가 들어오기도 했으나 원하는 만큼 매출이 나오지 않아 공실은 좀처럼 줄어들지 않고 있다.
현재 상황에선 복합환승센터 등으로 변신을 꾀하기도 쉽지 않다. 노포동 버스터미널은 인근 회동수원지와 공원 때문에 상수원 보호구역, 개발제한구역, 문화재보호구역으로 규제에 묶여 있다. 이러한 상황에 터미널 일대에서 건출물 증·개축은 어렵다. 유통단지로 전환은커녕 작은 규모 편의시설 하나도 추가하기 쉽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포동 규제 해제가 버스터미널 개발의 돌파구가 될지 관심이 쏠린다. 그린벨트와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골자로 하는 ‘북부산 노포역 일원 종합개발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 결과 규제 해제에 힘이 실리면, 버스터미널 인근에 대규모 쇼핑시설 유치도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진다. 대구 동대구 복합환승터미널과 부산 사상 부산서부버스터미널과 같이 유통시설과 터미널을 결합시켜 적자를 줄이고 교통과 쇼핑 중심지로 거듭날 수 있다.
부산시설공단 관계자는 “부산종합버스터미널의 근본적 문제를 해결하려면 노포동 일대를 꽉 묶고 있는 규제가 풀려야 하는데, 이를 위해선 도시 개발 측면에서 꽤 큰 그림을 그려야 하기에 버스터미널만 규제를 풀어달라고 하긴 어렵다”며 “부산시와 정부 차원 협의가 이뤄져 규제가 풀리기만 바라고 있다”고 밝혔다.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