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부산영사관 포함’ 미국 해외 공관 27곳 폐쇄 검토

입력 : 2025-04-16 11:02:16 수정 : 2025-04-16 16:09:17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정부효율화 일환 미 국무부 개편
국무장관 서명했는지는 확인 안 돼
아시아선 부산이 유일 대상지 거론

15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 DC 미국 국무부 전경. AFP연합뉴스 15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 DC 미국 국무부 전경. AFP연합뉴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부산 미국 영사관을 포함해 해외 미국 대사관과 영사관 총 27곳을 폐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부 효율화 일환으로 검토하는 내용으로 아시아에서는 부산 영사관이 유일하게 꼽혔다.

15일(현지 시간) 미국 CNN 방송은 입수한 국무부 내부 문서를 바탕으로 국무부가 전 세계 대사관 10곳, 영사관 17곳의 폐쇄를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폐쇄 대상이 되는 곳은 몰타, 룩셈부르크, 레소토, 콩고공화국,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남수단 등 대사관과 프랑스 내 5곳, 독일 2곳,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2곳, 영국 1곳, 남아프리카공화국 1곳, 한국 1곳 등 영사관이다.

전 세계 미국 대사·영사관 폐쇄 검토안은 일론 머스크 정부효율부(DOGE) 수장을 중심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연방 정부 축소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나온 국무부 개편 방안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이 폐쇄안에 서명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미국 국무부 타미 브루스 대변인은 CNN에 “예산안과 관련해서는 백악관과 대통령에게 직접 문의하길 바란다”면서 “현재 나온 숫자는 알려지지 않은 경로로 유출된 문서에 기반한 부정확한 내용일 수 있다”고 정확한 확인을 해주지 않았다.

이 문서는 각국 대사관과 영사관을 폐쇄를 추천하는 근거로 지역국과 미국 내 타 부처의 피드백, 영사 업무량, 미국 직접 고용직 1명당 비용, 시설 상태, 보안 등급 등을 언급했다. 이번 폐쇄안에 포함되지 않은 일본과 캐나다 내 미국 외교공관은 ‘대규모 공관 모델’로 영사 지원 기능을 특화된 단위로 통합 운영하는 방식으로 재조정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만약 부산 미국 영사관이 폐쇄될 경우 서울 주한미국대사관이 부산 영사관 업무를 통합해 처리할 것으로 풀이된다. 부산 영사관은 부산, 대구, 울산, 경남, 제주도 지역의 한미 교류 증진과 이 지역과 관련된 사업을 하는 미국 기업을 지원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

미국 비자 발급 등 업무는 지금도 서울 미국대사관에서 처리하고 있어 영사 업무 불편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동안 부산 영사관이 해왔던 한미 교류가 대폭 축소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조영미 기자 mia3@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