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가 던진 국힘 새 혁신위원장에 윤희숙… 국힘 혁신 가능할까

입력 : 2025-07-09 16:10:51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윤희숙 “국민 눈높이 혁신안 마련”
‘당원 주권’ 강화 요구 확산
“혁신위 한계 분명” 무용론 제기도

국민의힘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을 받으며 이동하고 있다. 오른쪽은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연합뉴스 국민의힘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을 받으며 이동하고 있다. 오른쪽은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연합뉴스

국민의힘이 안철수 의원의 사퇴로 공석이 된 혁신위원장에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을 선임했다. 경제통이자 소신파로 꼽히는 윤 신임 위원장이 개혁을 이끌 적임자라는 기대도 있지만, 전당대회를 한 달 앞둔 시점에서 실질적 변화를 이끌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국민의힘은 9일 오전 국회에서 비상대책위원회를 열고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을 신임 혁신위원장으로 임명했다. 윤 위원장은 한국개발연구원(KDI) 출신의 경제 전문가로, 21대 국회의원을 지낸 인물이다. 이날 비대위는 또한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장으로 황우여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임명했다. 황 위원장은 지난 대선 후보 경선에서도 선관위원장을 맡았다. 혁신위원직을 사퇴한 송경택 서울시의원의 후임에는 배지환 수원시의회 의원이 내정됐다.

송언석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중도보수를 대표하는 경제통인 윤 원장이 위원장직을 맡아 혁신 업무를 잘 이끌어주리라 믿는다”며 “실패한 과거와 결별하고 수도권 민심으로 다가가는 정책 전문 정당으로 거듭나는 혁신 조타수가 될 것”이라고 윤 위원장 인선 배경을 설명했다.

윤 위원장은 “당원이 주인인 정당으로 체질을 바꿔야 한다”며 당원 중심 개혁을 예고했다. 그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혁신안을 마련하겠다”며 “(차기) 지도부가 다같이 망할 작정이 아니라면 혁신안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국민께서 가장 많이 하는 말씀이 ‘당의 문을 닫으라는 말’인데, 당의 문을 닫고 다시 여는 정도의 혁신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며 “혁신의 방향은 국민의 눈높이에 맞아야 할 것이고, 그 정도 혁신안을 제안했을 때 차기 지도부가 그것을 수용해야 성공할 수 있다”고 개혁 의지를 밝혔다.

다만 혁신위의 활동 기간이 전당대회까지 약 한 달에 불과하고, 당권 경쟁이 본격화되는 시점이라는 점에서 실질적 쇄신이 가능할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하다. 당 안팎에서는 개혁 방안을 둘러싼 논의도 이어지고 있다.

친한동훈계 소장파 모임 ‘언더73’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차기 전당대회에서 당원 주권을 강화해야 한다며 5가지 개혁안을 제안했다. △당론 결정 시 전 당원 투표 실시 △시·도당위원장 당원 직접투표 선출 △당원소환제 대상 확대 △원내대표 선출 시 당원 투표 결과 반영 △당비 납부 당원의 명칭 변경 등이다. 이들은 해당 개정안을 전당원 투표에 부칠 수 있도록 상임전국위를 소집해달라고 비대위에 촉구했다.

‘언더73’ 소속인 박상수 전 대변인은 “윤 위원장이 취임 일성으로 당원 주권 강화와 함께 상향식으로 당을 바꿔야 한다고 하신 것을 높게 평가한다. 저희 성명문이야말로 가장 기본적 요건들”이라며 “오늘 말씀이 허언이 아니라면 이 5가지부터 가장 먼저 받아들여 달라”고 밝혔다.

당내에서는 ‘혁신위 무용론’도 여전하다. 비대위원장을 지낸 김용태 의원은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지금 상황은 혁신위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며 “지금 혁신에 대한 기대치가 굉장히 올라와 있다. 그러면 인적청산, 인적쇄신을 말할 수밖에 없는데 지금은 그런 구조가 아니다”고 밝혔다. 이어 “총선까지 3년 남아 있기에 인적청산 대상들이 똘똘 뭉쳐서 혁신위를 좌초시키거나 공격할 것이다. 그래서 저도 혁신을 못 시켰고, 안철수 전 혁신위원장도 물러났다”고 언급했다.

혁신위원장직을 내려놓은 안철수 의원도 이날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혁신위원장은 비대위의 승인 없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수동적 위치”라며 “혁신위원장이 전권을 가지지 못하면 혁신을 못 하는데, 나에게 (전권을) 안 준 것을 보면 그 다음도 받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탁경륜 기자 takk@busan.com

부산온나배너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