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지역 사립유치원에 다니는 3~5세 유아는 내년부터 전면 무상교육을 받는다. 부산시교육청이 정부 지원에 더해 자체 예산을 투입하면서 지역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이 완화될 전망이다.
부산시교육청은 내년부터 지역 사립유치원에 다니는 3~5세 유아 전원을 대상으로 표준유아교육비 수준의 무상교육을 시행한다고 31일 밝혔다. 시교육청은 이를 위해 2026년도 본예산에 약 315억 원을 편성할 계획이며, 지원 대상은 부산 사립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 2만 2818명이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29일 국무회의에서 ‘5세 무상교육·보육’을 위한 목적예비비 지출안이 의결됨에 따라, 올해 하반기부터 전국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다니는 5세 유아 약 27만 1000명에게 총 1289억 원(6개월분)을 지원하기로 했다. 유아 1인당 매달 사립유치원 11만 원, 어린이집 7만 원, 공립유치원은 2만 원을 추가로 지원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이를 시작으로 무상교육 대상을 2026년에는 4~5세, 2027년에는 3~5세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시교육청은 이에 더해 자체적으로 예산을 추가 편성하고 전 연령(3~5세) 유아를 무상교육 대상으로 포함시키기로 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사립유치원 학부모의 부담과 지역 간 교육비 격차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전면 무상화를 결정했다”며 “유치원 운영의 형평성과 교육 질을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석준 부산시교육감은 “사립유치원 무상교육은 유아 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실질적으로 덜어주는 정책”이라며 “모든 아이가 출발선에서부터 공정한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상배 기자 sangbae@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