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여간 적발된 해상 밀입국자 중 약 96%가 중국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대부분은 취업을 목적으로 한국에 밀입국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이 6일 해양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2025년 9월까지 해상 밀입국으로 적발된 54명 중 52명이 중국 국적자였다.
중국 국적 밀입국자 중 46명은 취업을 목적으로 밀입국한 것으로 파악됐다. 또 한국에 있는 중국인의 밀출국을 돕기 위해 밀입국한 중국인이 3명, 채무 해결 목적 2명, 한국 체류 중 가족 방문 목적 1명이 있었다.
해경은 해상 밀입국 방식이 과거 어선과 화물선 등을 이용해 들어오는 수법에서 최근에는 소형 고속보트나 수상 오토바이 등을 이용해 직접 상륙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선교 의원은 "해경은 점차 고도화하는 해상 밀입국 수법을 철저히 확인, 점검하고 해상 밀입국에 따른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단속 등 각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오전 밀입국 추정 중국인 8명이 탄 레저보트가 레이다에 포착돼 추적에 나선 육군과 해경의 공조 작전으로 2시간여 만에 나포됐다. 지난달 7일에도 고무보트를 함께 타고 제주로 밀입국한 중국인 6명이 모두 해경에 검거됐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