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의 재즈 뮤지션 그룹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을 아직도 기억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1997년에 이들이 낸 앨범은 전 세계적으로 1200만 장 이상 판매됐고, 1998년에는 그래미상까지 받았다. 쿠바의 음악을 세계에 알린 이 밴드가 1996년에 조직될 당시 멤버들의 평균 연령은 70대였다. 그런데 더 오랜 전통과 실력, 연륜까지 겸비한 밴드가 부산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사실은 잘 모르는 것 같다. 올해로 결성 35주년을 맞이한 ‘데오빌로 뮤직’이 그 주인공이다. ‘노신사 밴드’라는 예명으로 더 많이 알려진 이 밴드 단원들의 평균 연령 역시 70대다. 부산의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 노신사 밴드는 최근 3년 만에 광복로 공연을 본격 재개했다. 청년들도 쉽지 않은 거리 공연을 그 오랜 기간 해 온 사연이 있었다.
너무 늦게 알았다는 후회가 몰려들었다. 지난달 26일 부산가톨릭대 신학교정에서 열린 노인 축제 ‘2025 하하 페스티벌’에서 노신사 밴드의 공연을 처음 접하고 나서 든 느낌이었다. 부산시는 노인의 날(10월 2일)을 맞아 지정한 노인행복주간의 일환으로 하하 페스티벌을 열었다. 이날 하이라이트는 부산문화재단이 개최한 시니어 밴드 축제 ‘하하 밴드십’이었다. 그 첫 무대를 노신사 밴드가 화끈하게 열어젖혔다. 전국에서 6개팀이 참가한 무대에서 노신사 밴드의 공연은 단연 압권이었다. 특히나 드러머 김화남 씨가 신들린 듯한 드럼 솔로 애드리브 연주로 절정의 기량을 과시할 땐 함성과 박수가 폭발했다.
뒤늦게나마 노신사 밴드 단원들의 이름을 찾아서 한 명 한 명 호명하고 싶어졌다. 윤홍중 (키보드), 사공미 (피아노), 백문성 (기타), 윤장길 (베이스 기타), 신재식 (트롬본), 윤길중 (테너 색소폰), 이정민 (알토 색소폰 1), 김보나 (알토 색소폰 2), 조호준 (트럼펫 1), 장정일 (트럼펫 2), 김화남 (드럼), 김영길 (타악기), 정연주 (보컬 1), 김남주 (보컬 2).
14인조 노신사 밴드의 연주와 노래만 들으면 평균 연령이 70대라는 사실을 상상하기 힘들다. 액티브 시니어 (Active Senior)라는 말 그대로이다. 아쉽지만 누구도 막을 수 없는 것도 있다. 계속해서 바뀌는 최고령 단원 자리도 그렇다. 지금은 트럼페터 장정일 씨와 키보디스트 윤홍중 씨가 86세로 가장 나이가 많다. 피아노를 담당하는 사공미 씨와 알토 색소폰의 이정민 씨 등 젊은 피 2명을 빼면 전원이 80대다.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도 노신사 밴드를 무대에서 만나면 형님이라고 부를 수밖에 없는 연륜을 자랑한다.
연주 실력은 더욱 출중하다. 단원 대부분이 과거 유명 연주자들의 산실 역할을 했던 미8군 하우스밴드 출신으로, 매주 수요일이면 어김없이 모여서 연습한다. 재즈로 시작했다가 라틴음악과 팝음악까지, 연주하는 장르도 다양하다. 노신사 밴드라는 이름은 2015년 SBS 주말 예능프로그램인 ‘스타킹’에 출연하면서 새롭게 붙여졌다. 그전까지는 ‘데오빌로(하나님을 사랑하는 사람) 뮤직’이라는 이름으로 주로 활동했다.
스타킹에서는 나이를 의심하게 만드는 연주 실력과 음악에 대한 열정으로 평가단을 감동시켜 당당히 1등을 차지했다. 특히 평가단의 걸스데이 민아는 노신사 밴드의 공연이 끝난 후 눈물까지 흘려 화제가 되었다. 당시 민아는 “이렇게 열정 넘치면서 오래도록 음악하시는 게 큰 감동이었다. 저도 오랫동안 음악을 하고 싶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평생 음악 외길을 걸어온 사람들만이 줄 수 있는 감동이 아니었을까.
노신사 밴드는 지난 6월 동아대 다우홀에서 35주년 기념 공연을 열었다. 처음부터 고령의 단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보니 지금은 볼 수 없는 그리운 얼굴들도 적지 않다. 과거 한 방송사 악단장이자 연예인 연주 분과위원장이었던 김경오 씨의 이야기는 전설처럼 전한다. 김 씨는 94세까지 밴드에 나와서 색소폰을 불었다. 그가 연주하는 ‘대니보이’를 듣기 위해 전국에서 팬들이 부산까지 찾아올 정도였다. 김 씨는 밖에서는 절대로 술을 마시지 않고, 집에서 소주 딱 한 잔씩을 온더록스해서 마시는 생활을 70년간 이어올 정도로 자기 관리가 철저했다.
2023년 95세로 세상을 떠나 전설적인 라이브 연주는 이제 영원히 들을 수 없게 됐다. 그는 “우리는 무대에만 서면 없던 힘이 나온다. 음악은 정말 대단한 힘을 가졌다”라는 말을 남겼다. 올해 아흔인 정규태 씨의 트럼펫 실력은 아직도 변함이 없지만 나이 든 모습을 보이기 싫다며 밴드에 나오지 않아 아쉬움을 준다. 연말 송년 무대 같은 곳에서라도 그의 연주를 들어보고 싶다.
노신사 밴드는 35년 동안 3000회가 넘는 공연을 하며 인연을 맺은 문화계 인사가 한둘이 아니다. 부산 출신 배우 김윤석 씨는 무명 시절에 맺은 인연을 잊지 않고, 영화 ‘추격자’로 받은 영화상 상금 가운데 1000만 원을 보내왔다. 또 부산 출신 배우 이재용 씨는 노신사 밴드의 뮤직비디오에 트럼펫 연주자로 출연해 음악인의 삶을 솔직하게 그렸다.
노신사 밴드는 어쩌면 거리에서 더욱 빛이 나는 것 같다. 2008년부터 시작해 비가 오는 날만 제외하고 일요일 거리 공연이 17년째다. 지난달 28일은 3년간 코로나 팬데믹 등으로 휴식기를 가지다가 재개한 지 두 번째 공연이었다. 그동안 “왜 공연을 하지 않았느냐” 며 “보고 싶었다”는 열성팬들의 성화가 쏟아졌다.
광복로의 스타 노신사 밴드가 등장하자 비로소 거리에 활기가 돌기 시작했다. 내외국인과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즐거워하면서 음악으로 하나가 되는 모습에 거리가 꽉 찬 느낌이 들었다. 때로는 중학생, 때로는 어르신들이 백댄서가 되어 춤을 추고 즐기는 모습이 흥겨웠다. 이날은 특히 ‘저 높은 곳을 향하여’로 알려진 가수 이영화 씨가 나와서 재능 기부를 했다.
공연 중간에 노신사 밴드를 이끄는 문화쉼터 강형식 대표(예인교회 목사)가 잠깐 마이크를 잡았다. 강 대표는 “여러분이 공연 기간 동안 담아 주신 귀한 마음을 매주 화요일 부산역 광장에서 노숙인과 차상위 노인들에게 한 끼 따뜻한 식사를 만들어 대접하는 일을 해오고 있다. 오늘도 여러분이 즐길 수 있도록 좋은 음악 들려드리겠다”라고 인사말을 했다. 거리 공연의 정식 이름은 ‘노숙인과 차상위 노인 급식 지원을 위한 한 끼 식사 콘서트’였다.
알고 보니 노신사 밴드는 거리 공연으로 생긴 후원금으로 노숙인과 차상위 노인들에게 매주 밥을 해 드리고 있었다. 또 가족들과 관계가 단절된 부산교도소 장기 복역수들을 위해 영치금도 넣고 있다. 노신사 밴드 단원들은 조를 나눠 급식 봉사에도 나서고, 배식이 끝나면 멋진 음악까지 선사한다. 티끌 모아 태산이라더니 노신사 밴드의 거리 공연을 통한 기부 금액은 지난 2016년까지 총 22억 원에 달했다. 지금도 매년 8000만~9000만 원의 봉사를 이어가고 있다.
공연 중에 잠깐씩 노신사 밴드 멤버들이 그동안 살아온 삶에 관한 이야기도 곁들인다. 타악기 연주자 김영길 씨는 공연은 물론이고 연습하러 가는 길에서도 설렌다는 진정한 음악 애호가다. 그는 “음악과 밴드는 내 인생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음악하다 보면 정신적인 스트레스에서 완전히 해방되니 건강에도 최고여서 모든 분에게 음악을 권하고 싶다”라고 말했다. 끝으로 강 대표는 “그동안 활동하면서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하면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을 느꼈다. 우리의 이야기가 많이 알려져서 각자의 삶이 더 보람 있게 되었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부산 광복로는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 오후 2시부터 9시까지 차량 통행이 금지되는 ‘차 없는 거리’로 운영되고 있다. 과거 부산의 중심지였던 광복로를 활기찬 문화 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방안이지만 많이 미흡한 모습이다. 노신사 밴드는 매주 일요일 4시 30분 광복로 차 없는 거리에서 거리 공연을 한다. 거리 곳곳에서 이런 공연이 열린다면, 부산이 ‘노인과 바다’라는 소리를 들어도 괜찮을 것 같다. 그런 도시라면 젊은이들도 연어처럼 다시 돌아오지 않을까 싶다. 글·사진=박종호 기자 nleader@busan.com
박종호 기자 nleader@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