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 부산 이전을 대비, 산업은행 사옥 부지로 지원하기 위해 남겨둔 부산 남구 문현동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내 부산도시공사 소유 1만 6973.8㎡ 부지가 빈땅으로 남아있다. 28일 파노라마로 촬영한 문현동 BIFC 일대 모습. 정종회 기자 jjh@
산업은행 부산 이전이 기약 없이 늦어지며 문현금융단지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내 산업은행 이전 예정 부지가 장기 방치되고 있다. BIFC 내 마지막 남은 노른자 땅인 만큼 일대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시가 전향적인 활용 방안 찾기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28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남구 문현동 BIFC 내 부산도시공사 소유 1만 6973.8㎡의 일반상업용지를 산업은행 사옥 부지로 지원하기 위해 남겨두고 있다. 당초 약 4000억 원을 들여 2029년까지 지상 45층 규모로 산업은행 사옥을 지을 예정이었으나 현재 공터로 남아 있는 상태다. 부지 소유자인 부산도시공사 측은 지자체, 공공기관 행사 등의 주차장 용지 등으로 임시 사용하도록 하고있는 상황이다.
이날 오후 1시께 〈부산일보〉 취재진이 찾은 문현동 산업은행 이전 예정 부지는 흙과 자갈, 잔디가 뒤섞인 공터였다. 이곳에는 버스부터 트럭, 승용차까지 다양한 차들이 빼곡히 주차돼 있었다. 부지 입구에는 이곳이 지난 11일부터 다음 달 6일까지 전국 장애인체전 선수단 수송 렌터카 차고지로 사용된다는 현수막이 붙어 있었다. 부지 가장자리에는 벤치 9개와 운동기구 12개가 마련됐지만 바닥 곳곳에는 잡초가 우거지고 일부 자갈밭은 움푹 파인 상태였다. 종이상자와 폐비닐, 담배꽁초 등 쓰레기가 여기저기 나뒹굴기도 했다.
주민 김 모(51) 씨는 “이곳이 산업은행이 들어왔어야 하는 땅인지 미처 몰랐다”며 “교통도 편리하고 경치도 좋은 땅인데 그 가치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아 아쉽다”고 밝혔다.
해당 부지는 2022년 산업은행 부산 이전이 국정과제로 지정되면서 이전 예정지로 결정됐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2022년 대선 당시 산업은행 부산 이전을 후보 공약에 포함했으며 당선 이후 국정과제 목록에 반영됐다. 2023년 5월에는 산은을 ‘부산 이전 공공기관’으로 지정·고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의 반대 등으로 이전은 추진되지 못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5월 대선 후보 때 “산은 부산 이전은 불가능한 약속”이라고 밝혀 이번 정부 들어서 산은 이전 추진은 더 어려워졌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시는 그래도 공식적으로 산업은행 유치가 추진 중인 상황인 만큼 해당 부지는 산업은행 부지로 남겨 두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산업은행 유치 불발에 따른 ‘플랜 B’ 성격으로 2차 공공기관 이전 예정 부지로 이 부지가 활용될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해당 부지는 혁신도시개발지구에 해당하기에 꼭 산업은행이 아니라 다른 이전 공공기관도 사용할 수 있다”며 “다만 현재로선 부지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엔 시기상조라 생각한다. 산업은행 부산 유치를 위해 힘쓰는 것이 우선”이라고 밝혔다.
부산도시공사 관계자 역시 “부산시가 산업은행 부산 유치를 계속 추진 중이기에 공사도 이에 협조하고 있다”며 “주민 통행이나 산책을 위해 부지를 개방 중이며 주민들의 요구에 따라 운동기구를 설치했다”고 밝혔다.
산은 이전이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부지 활용 방안을 전향적으로 찾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BIFC 3단계 사업이 준공을 앞두고 있는 만큼 시너지 효과를 위해서라도 부지 활용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역구 국회의원인 박수영(부산 남구) 의원은 최근 잔디 공원 조성 제안도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다. 박 의원실은 “현재 자갈밭으로 방치된 산은 이전 예정 부지에 잔디 공원을 조성해 시민들에게 개방하는 방안을 부산시에 제안할 예정”이라며 “잔디 공원으로 활용하다 산은 유치가 확정되면 바로 개발에 착수하는 방안도 있다”고 밝혔다.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 , 박수빈 기자 bysue@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