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전국 최초 분산특구 확정…4곳 ‘합격’, 울산 등 3곳은 ‘보류’

입력 : 2025-11-05 12:30:00 수정 : 2025-11-05 19:04:19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EDC·명지지구·강서산단 일대 1511만 평
기후부 장관 주재 에너지위원회서 확정
특구내 대규모 500MWh 전력 저장
AI 기반 에너지 관리 효율화도 도모
부산, 연간 157억 원 전기요금 절감
개별기업 기준 최대 8% 수준 절전
첨단산업, 분산특구내 ESS 구독 서비스
설비투자비용 총 2500억 원 절감 기대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해소로 연 44억 절감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5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호텔에서 열린 '제36회 에너지위원회'에 참석해 회의에 앞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기후부 제공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이 5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호텔에서 열린 '제36회 에너지위원회'에 참석해 회의에 앞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기후부 제공
부산 분산에너지특구(강서 스마트그리드) 개요 및 ESS Farm 소개. 부산시 제공 부산 분산에너지특구(강서 스마트그리드) 개요 및 ESS Farm 소개.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전국 최초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로 최종 확정됐다. 부산시가 ‘신산업활성화형’ 분산특구로 지정됨에 따라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와 인공지능(AI) 기반 에너지 관리 효율화를 통해 에너지신산업 거점으로 도약할 전망이다.

정부는 5일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주재로 제36차 에너지위원회를 열어 지난 5월 최종 후보지에 오른 7곳을 심의한 결과 부산(강서), 경기(의왕), 전남(전역), 제주(전역) 4곳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로 최종 확정(의결)했다. 4곳은 앞서 최종 후보지 발표 시 ‘신산업 활성화 유형’으로 분류된 곳들이다.

울산(미포산업단지), 경북(포항), 충남(서산) 3곳은 ‘결정’이 보류됐다. 보류된 3곳 중 울산과 충남은 ‘수요 유치형’에 해당한다. 이번에 보류된 3곳은 추가 논의를 거쳐 차기 에너지위원회에서 조속히 재심의할 예정이다.

신산업 활성화는 ‘분산에너지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연계하고 특구에 부여되는 특례를 이용해 신산업을 발굴하는 유형’이고, 수요 유치는 ‘분산에너지 발전설비를 중심으로 새로운 전력 수요를 유치하는 유형’이다.

부산시는 ESS를 대규모로 설치하고 다양한 수용가(산업단지·항만·데이터센터)에서 활용해 전기요금을 절약하는 사업 유형(비즈니스 모델)을 마련한다. 인공지능(AI) 기반 에너지 관리 효율화도 추진한다.


5일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주재로 열린 에너지위원회에서 전국 최초로 부산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 지정이 확정됐다. 분산특구 예정지인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EDC)와 그린데이터센터 집적단지 일대. 김경현 기자 view@. 5일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주재로 열린 에너지위원회에서 전국 최초로 부산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 지정이 확정됐다. 분산특구 예정지인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EDC)와 그린데이터센터 집적단지 일대. 김경현 기자 view@.

‘강서 스마트그리드’로 명명된 부산 분산특구 대상 지역은 에코델타시티(EDC), 명지지구, 강서권 6개 산업단지(명지녹산·미음·신호·화전·생곡·국제물류도시)로, 면적은 총 49.9㎢(1511만 평)에 달한다. 부산 분산특구 사업에는 내년부터 2030년까지 총사업비 2094억 원(민간)이 투입된다. 사업자는 엔솔브(옛 부산정관에너지), 누리플렉스(NuriFlex), LG CNS, 한전KDN이다. ESS Farm과 에너지통합플랫폼을 융합한 ‘강서 스마트그리드 구축’이 사업의 핵심이다.

이번 사업의 핵심인 ESS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활용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시 공급함으로써 계통 안정성과 에너지 가격 경쟁력을 동시에 높이는 장치이다. 또한 ESS와 함께 에너지관리시스템(EMS)과 AI 기반 지능형 전력망(Smart Grid·스마트 그리드)을 결합해 에너지 수요와 공급을 실시간으로 최적화함으로써 미래형 에너지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ESS Farm 주요 역할 및 파급 효과. 부산시 제공 ESS Farm 주요 역할 및 파급 효과. 부산시 제공

이번 분산특구 지정으로 부산은 △산업체 전기요금 절감 △전력 설비투자비 절감 △재생에너지 출력제한 해소 △기업 유치 촉진 등 다각적인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총 500MWh(메가와트시) 규모의 대규모 ESS 설치를 통해 기업들은 심야 등 저렴한 시간대에 충전한 전력을 피크(최고조) 시간대에 활용함으로써 기업별 최대 8% 수준, 부산 전체적으로 연간 157억 원의 전기요금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반도체·데이터센터 등 첨단 산업의 경우 무정전 전력 공급을 위한 개별 설비 설치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지만, 분산특구 ESS 구독 서비스를 통해 총 2500억 원 규모의 설비 투자비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대규모 ESS가 재생에너지의 과잉·과소 공급을 조정함으로써 태양광 등 분산 전원의 출력 제한을 완화하고, 연간 44억 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돼 관련 산업 활성화에 큰 기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분산특구 내 ESS는 총 500MWh의 전력 저장이 가능한데, 이는 약 4만 2000세대의 하루 사용량이자 첨단 데이터센터 5개를 운영할 수 있는 규모다. 안정적이고 저렴한 전력 공급 기반을 확보함으로써 향후 첨단기업 유치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전국 최초 분산특구 지정으로 부산은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통해 명실상부 ‘전국에서 가장 기업하기 좋은 도시’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미래에너지 신산업의 거점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됐다”며 “이를 발판으로 에너지 자립과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친환경 에너지 글로벌 허브도시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 에너지를 사용하는 수요지 인근에서 전력을 생산·소비하는 ‘에너지 지산지소(地産地消)’ 체계를 구축하는 제도로, 새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된 핵심 에너지 정책 중 하나이다. 분산특구는 전기사업법상 ‘발전·판매 겸업 금지’의 예외로 분산에너지 발전 사업자와 전기사용자간 전력 직접거래가 허용되며, 규제특례가 적용돼 다양한 요금제를 도입하고, 전력 신산업의 모델을 활성화할 수 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금정산챌린지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