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대형선망수협이 조합원 감소로 강제 해산 직전입니다. 최근 한 선단이 감척되며 조합원 수가 15명으로 줄었고, 지난해 어선 사고로 추가 감소도 예상됩니다. 수협법에 따르면 조합원 수가 15명 미만이면 강제 해산 대상입니다. 조합이 해산되면 업계가 축소되고, 부산 중심의 고등어 유통망도 큰 타격이 불가피합니다. 업계는 법 개정을 통해 조합 해산 요건을 완화해 줄 것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
|
|
|
부산 최대 수협 조합인 대형선망 현실이 알려지면서 지역 수산업계 전체에 위기감이 크게 고조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어획량 감소와 현실에 맞지 않는 배 규제 탓에 업계가 파산 직전에 몰렸다는 분석이 잇따른다. 17일 부산시와 대형선망에 따르면 대형선망의 한 선단이 해양수산부 자율감척사업에 지난 13일 선정됐다. 해수부는 관련 절차를 거쳐 올해 말까지 감척 사업을 완료한다. 이번 선정으로 수산업계 맏형 격인 대형선망 조합원 수는 15명으로 줄어들게 됐다.
| | | |
부산·경남(PK) 소재 경주마를 대구·경북(TK)에 수급해 영천경마공원을 운영한다는 한국마사회 계획이 확인됐다. 계획이 현실화되면 PK 지역은 한 해 최대 300억 원 넘는 레저세가 유출된다. 부산·경남과 협의 없이 사실상 비밀리에 진행된 계획으로, 레저세 50% 감면을 약속한 경북·영천과 마사회가 ‘짬짜미’ 거래를 했다는 지적마저 제기됐다.
|
|
|
|
인구 구조에서는 1~2인 가구가 대세로 자리잡았지만, 부동산 시장에서는 여전히 중대형 아파트로 수요가 몰리며 가격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 실수요자는 물론 투자자들도 ‘똘똘한 한 채’를 구입하면서 85㎡가 넘는 중대형 아파트 매매 가격이 10년간 3배 넘게 올랐다. 이에 부산 주요 입지에서 중대형 평형을 앞세운 대단지 아파트가 분양하면, 침체됐던 지역 분양시장 분위기를 반전시킬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온다.
|
|
|
|
4·2 부산시교육감 재선거를 앞두고 ‘중도보수 단일화’가 결정됐지만 여론조사 방식을 둘러싼 후보 간 줄다리기가 계속되고 있다. 단일화 시한인 23일까지 일주일도 남지 않은 가운데, 문항과 표본 등 세부 사항을 놓고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으면서 단일화 성사 여부에 의문이 커지고 있다.
|
|
|
|
부산도시철도 4호선을 운행하는 전동차가 멈춰서는 사고(부산일보 3월 16일자 10면 보도)가 반복되면서 부산교통공사가 도시철도 관리에 손을 놓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철도 전문가들은 ‘무인 자동운전 시스템’을 적용한 4호선의 관리 체계 전반을 이번 기회에 재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
|
|
|
오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
솔직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
만족해요
아쉬워요
|
|
|
|
부산일보가 취재해서 밝혀주길
바라는 내용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물론 응원 메시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
나의 의견 전송하기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