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물썰물] 하필 조율시이일까

입력 : 2025-01-23 18:13:11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유학자 탁와 정기연(1877~1952) 선생이 창안한 것으로 알려진 습례국(習禮局)이라는 놀이판이 있다. 이름 그대로 ‘(아이들이) 예를 배우는 판’인데, 노는 방식은 윷놀이와 비슷하다. 바둑판처럼 네모난 판 위에 선을 그어 여러 구역을 만들어 놓고, 6각의 막대를 굴려 나오는 숫자에 따라 각 구역으로 말을 움직이면서 자연스레 차례상이나 제사상 차리는 법을 익히도록 했다.

탁와 선생은 도설(圖說·설명서)을 따로 남겼는데, 거기에 차례상에 조율시이(棗栗枾梨), 즉 대추·밤·감·배 놓는 법이 명기돼 있다. ‘서쪽에서 동쪽으로 조율시이를 순서대로 차리고, 이어 잡과(雜果) 한 종류와 조과(造果) 한 종류를 올린다’는 것이다. 대추·밤·감·배가 차례상과 제사상 차릴 때 기본 과일임은 여러 문헌에 나오지만, 그 진설법을 밝힌 건 습례국 도설 외에는 아직 찾아지지 않는다고 한다. 흔히 아는 〈가례〉에도 보이지 않는다.

하필 조율시이일까. 나름의 근거가 있다. 실학자 유형원(1622~1673)의 〈반계수록〉에 ‘묘목을 심을 때는 뽕나무를 비롯해 대추·밤·감·배나무를 심는다’는 구절이 있다. 대추·밤·감·배는 우리 조상들에게 가장 흔했던 과일인 것이다. 네 과일 중 대추는 으뜸으로 여겨졌다. 대추는 씨가 하나뿐이라 왕이나 성현을 상징했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밤은 한 송이에 세 알이 들어 있어서 삼정승을, 감은 씨가 여섯 개로 육판서를, 배는 씨가 여덟 개여서 팔도 관찰사를 각각 상징했다. 모두 후손이 잘 되기를 바라는 의미지만, 그중에서도 차등을 둔 것이다.

차례상·제사상에 올리는 과일을 지칭하는 말로 삼실과(三實果)도 있다. 대추, 밤, 감이다. 배는 빠진다. 차례상·제사상에 생과일을 올릴 형편이 못 되면 말린 과일을 사용해도 된다고 했는데, 다른 세 과일과는 달리 배는 말려 사용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고물가에 설 차례상을 준비하는 비용이 역대 최고치라고 한다. 그렇다고 차례를 포기할 수는 없는 일. 방법은 각자 형편대로 차리는 것이다. 단지 조상을 기억하고 후손의 안녕을 기원하는 그 의미만 잊지 않으면 된다. 조율시이! 좋지 아니한가. 그조차 어렵다면 말린 대추와 밤, 곶감만으로도 충분하다. 곶감도 부담된다면 과감히 빼면 된다. 왕이나 성현, 최소한 삼정승은 바랄 수 있지 않은가. 그게 우리 옛 규범이 전하는 차례와 제사의 요체다. 임광명 논설위원 kmyim@

임광명 논설위원 kmyim@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