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역 혁신 중소기업을 육성하는 '지역혁신 선도기업 육성사업'에 1조 445억 원을 투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주재로 '2025년 제1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를 열어 예비타당성 조사(예타)가 면제됐던 ‘지역혁신 선도기업 육성사업(중소벤처기업부)’의 최종 사업 규모를 이같이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지역특화산업육성, 지역특화산업육성+ 사업의 뒤를 잇는 지역 중소기업 연구개발(R&D) 사업으로 올해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예산 1조 445억 원을 투입한다. 이번 사업에서는 지역 주력 산업 분류체계를 국가 전략기술에 맞춰 개편하고 지역 간 경쟁 시스템 도입, 우수 기업·과제 차등 지원 등 사업구조를 고도화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이번 적정성 검토 결과에 따라 31일부터 즉시 지역별 주력산업생태계 구축, 지역역량강화 유형 111개 과제를 공고하고 기업 선정이 진행된다. 본격적인 사업 착수를 통해 중소기업 혁신성장을 유도하고 기술혁신에 기반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위원회는 또 온실가스 배출 산업에 탄소포집·활용(CCU) 기술을 실증하는 ‘CCU 메가프로젝트 사업(과기정통부)’을 예타 대상으로 선정했다. 이 사업은 5대 산업별 실증부지에 대형 실증설비 구축과 제품화 등을 지원한다.
이 사업과 관련, 과기정통부는 2026년부터 5년간 국고 7396억 원, 지방비 120억 원, 민자 3875억 원 등 총 1조 1392억 원의 투입을 요청했다. 5대 산업별로 선정된 실증부지(발전-충남 보령, 석유화학-충남 서산, 정유화학-전남 여수, 철강-경북 포항, 시멘트-강원 강릉·삼척)를 대상으로 대형 실증설비 구축부터 제품화까지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과기정통부의 '실세계 이해와 적용을 위한 ‘범용인공지능(AGI) 핵심 원천 기술개발 사업’도 예타 대상으로 선정됐다. 이 사업은 2032년까지 AGI 2단계 달성을 위한 세계 최초·최고 수준의 핵심 원천기술을 연구·확보하는 사업이다. AGI는 특정 분야나 목적에만 뛰어난 성능을 보여 활용이 제한되는 기존 인공지능(AI)과는 달리, 다양한 분야에 범용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인간 수준의 인공지능으로, 차세대 인공지능기술의 발전 방향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 사업에서는 AGI 개발의 기초가 되는 인간 수준의 실세계 이해와 적용 능력(인지·표현 AI)이나, 기억과 자율적 지식의 축적 및 성장 능력(기억·성장 AI), 상호작용과 행동을 위한 적응 및 수행 능력(체화·연결 AI)을 구현하기 위한 원천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해외 AI 기술 의존도를 낮추고, 신시장 창출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