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최태원 회장이 “세계 시장에서 이길 수 있는 소버린(Sovereign·주권형) 인공지능(AI)을 우리가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18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SK그룹의 지식경영 플랫폼 ‘이천포럼 2025’ 오전 세션이 끝나고 기자들과 만나 “소버린 AI에서 분명히 알아야 하는 건 소버린 AI가 국내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이것도 어차피 글로벌 전쟁이란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소버린 AI란 자국만의 데이터·인프라를 활용해 독립적으로 AI 시스템을 구축·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AI 주권 확보와 안보를 위해 필요성이 강조된다.
최 회장은 이날 오전 세션에서 미국 트럼프 정부의 정책과 중국의 대응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의 정책,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전략적으로는 예측 가능하지만 기술적으로는 예측 불가능하다는 것도 기억에 남았다”고 강조했다.
올해로 9회째를 맞은 이천포럼은 6월 경영전략회의(옛 확대경영회의), 10월 CEO세미나와 함께 SK그룹의 핵심 연례행사로 꼽힌다. 2017년 최 회장이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대응할 변화 추진 플랫폼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시작됐다.
개막날인 이날은 최 회장을 비롯해 SK그룹 최재원 수석부회장, SK수펙스추구협의회 최창원 의장, SK하이닉스 곽노정 대표이사 사장, SK텔레콤 유영상 사장, SK이노베이션 장용호 총괄사장, SK온 이석희 사장 등 계열사 주요 경영진과 학계 및 업계 전문가 등 25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개회사는 곽노정 사장이 맡았다. 그는 SK그룹의 미래를 향한 과감한 투자와 안목이 고대역폭메모리(HBM)로 대표되는 AI 메모리 시장에서의 성공 신화를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곽 사장은 “아사 직전까지 갔던 회사가 SK를 만나면서 세계 최초 HBM 개발, 글로벌 D램 시장 1위, 시총 200조 원 달성 등 도약을 이뤄냈다”며 “이 모든 기적 같은 일들은 2012년 SK하이닉스가 SK그룹을 만났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2012년 당시 최태원 SK 회장은 경영난에 시달리던 하이닉스를 과감하게 인수해 채권단 체제하에서 여의찮았던 대규모 장비와 설비 투자를 본격화했다. SK하이닉스는 SK그룹에 인수된 다음 해인 2013년 세계 최초로 HBM을 개발했다.
이천포럼 2025는 ‘AI와 디지털 전환(DT·Digital Transformation)’을 의제로 사흘간 열린다.
송상현 기자 songsang@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