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서 '한일 정상회담'… 양국 정상, 지역에서 21년 만의 대면

입력 : 2025-09-29 16:24:57 수정 : 2025-09-29 16:37:36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30일 부산에서 한일 정상회담 개최
이 대통령, 이시바 총리와 회담·만찬
곧 퇴임하는 이시바, 마지막 회담 무대
"한일 협력 파트너로서 논의 지평 확대"
"인구소멸, 고령화, 지방 활성화 등 논의"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지난 8월 23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정상회담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지난 8월 23일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정상회담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30일 부산에서 ‘한일 정상회담’이 개최된다. 서울이 아닌 수도권 외 지역에서 한일 정상회담이 개최되는 건 지난 2004년 이후 21년 만이다. 부산 회담 성사에는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강력한 균형 발전 의지가 반영됐다는 평가다. 내달 초 퇴임하는 이시바 총리가 마지막 회담 무대인 부산에서 ‘깜짝 선물’을 내놓을지에도 관심이 집중된다.

29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30일 부산에서 이시바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진 뒤 만찬을 함께 한다. 이번 정상회담은 지난달 이 대통령의 일본 방문에 대한 이시바 총리의 답방 성격이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한 달 만에 두 정상의 만남이 다시 이뤄졌다는 점에서 한일 간 셔틀외교가 복원·정착됐음을 의미한다”며 “이번 정상회담은 지난 8월 이 대통령의 일본 방문에 대한 답방”이라고 말했다.

일본 정상이 양자 정상회담을 위해 방한하면서 서울 이외의 도시에 방문하는 것은 2004년 이후 21년 만이다. 당시 일본 고이즈미 준이치로 전 총리가 제주도를 방문해 노무현 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진 바 있다. 부산 회담 성사는 지난 8월 정상회담 당시 이 대통령이 “서울이 아닌 지방에서 만나자”는 취지로 언급한 데 따른 것이다. 회담 장소로 부산이 선정된 배경으로는 부산이 제2의 도시인 점과 일본과의 지리적 접근성, 증가하는 일본인 관광객 추이를 비롯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등 이재명 정부의 균형발전 상징 도시인 점이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위 실장은 “이번 회담에서는 양국의 공통 문제인 인구 문제, 지방 활성화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며 “인공지능(AI), 수소에너지 등 미래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두고도 대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이번 회담을 통해 한일 양국이 협력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위 실장은 “격변하는 무역질서 속에 유사한 입장을 가진 이웃이자 협력 파트너로서 양국이 논의의 지평을 확대하는 기회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이시바 총리의 방문 성격은 ‘실무 방문’이다. 대통령실은 “실무 방문 그 이상의 환대를 각별히 신경 썼다”고 밝혔다. 위 실장은 “이시바 총리의 방한은 실무 방문이지만, 환영행사나 회담장 등에서 그 이상의 환대가 이뤄질 수 있도록 세심하게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이시바 총리의 방한은 이번이 마지막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시바 총리는 다음 달 4일 일본의 집권 자민당이 새 총재를 선출하고 이어 국회에서 신임 총리가 결정되면 퇴임할 예정이다. 이시바 총리의 마지막 방한인 데다, 회담 무대가 지역인 만큼 한일 양국 차원의 균형발전 정책이 주로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시바 총리가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도 전향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는 만큼, 마지막 정상회담에서 유의미한 입장을 내놓을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대통령실은 ‘이시바 총리가 퇴임한 이후에도 한일 양국이 조율한 의제에 대한 지속성이 담보 되냐’는 질문에 “이번 회담의 주요 의제는 인구소멸, 고령화, 복지, 지방 활성화 등으로, 이는 정권 교체와 무관하게 한·일 양국이 공통으로 안고 있는 문제”라며 “이 문제에 대한 문제의식은 정부가 바뀌더라도 같기 때문에 지속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금정산챌린지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