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 2호기, '계속운전' 허가 미뤄…“10월 23일 회의서 추가 논의”(종합)

입력 : 2025-09-25 18:43:33 수정 : 2025-09-25 19:16:13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원안위, 사고관리계획서·계속운전 허가안 보류
40년 넘긴 노후 원전…안전성 검증 최대 쟁점
‘10년 수명 연장’ 원전 10기 첫 단추
한수원, 보완 조치 후 재심의 상정 예정

원자력안전위원회가 25일 회의를 열고 고리 원자력발전소 2호기(부산 기장군 장안읍 소재) 계속운전 허가 여부를 다음 회의에서 추가 논의하기로 했다. 사진은 고리2호기 전경. 부산일보DB 원자력안전위원회가 25일 회의를 열고 고리 원자력발전소 2호기(부산 기장군 장안읍 소재) 계속운전 허가 여부를 다음 회의에서 추가 논의하기로 했다. 사진은 고리2호기 전경. 부산일보DB

고리 원자력발전소 2호기(부산 기장군 장안읍 소재) 계속운전 허가(운영변경허가 승인) 결정이 결국 다음 회의로 미뤄졌다. 다음 회의는 10월 23일 개최될 예정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25일 고리 2호기 계속운전에 대한 심의를 진행했으나 검토에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차기 회의에서 계속 심의하기로 했다.

원안위는 이날 222회 회의를 열고 고리 2호기 사고관리계획서 승인안, 계속운전 허가안을 심의·의결 안건으로 다뤘으나 충분한 논의를 위해 이후 회의에 안건을 재상정하기로 했다.

위원들은 오후 2시부터 약 3시간에 걸쳐 2호 안건으로 오른 사고관리계획서를 놓고 토론했지만, 앞서 사고관리계획서가 승인된 한국형 원전(APR1400)과 다른 노형인 고리 2호기와 차이 등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며 더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그러면서 중대사고 대응 등 사고관리계획서 승인안과 내용 일부가 겹치는 계속운전 허가안도 추후 재논의하기로 했다.

고리 2호기 계속운전 안건이 원안위에 상정된건 이번이 처음으로,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계속운전을 신청한 국내 원전 10기 가운데 첫 번째 심사 결과다.

한수원은 원안위에서 ‘계속운전 의결’이 불발됨에 따라 그 사유에 따라 안전성평가 보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심사결과 보완 등 조치 후 원안위에 재심의 상정할 예정이다.

한수원은 원안위가 이번에 계속운전을 허가(승인)하면 재가동 준비에 착수할 계획이었다.

한수원은 계속운전 재가동 필수조치사항인 검증수명 만료기기 교체, 사고대처설비 계통연계 설계변경 설비개선을 준비 중이다. 고리 2호기는 계속운전 승인이 나면 약 3개월간의 설비개선 기간을 거쳐 재가동에 들어간다.

하지만, 고리 2호기의 계속승인 허가가 미뤄지면서 연내 재가동은 사실상 어려워졌다.

고리 2호기는 1983년 4월 9일 상업운전을 시작한 발전소다. 가압경수로 방식의 전기출력 685MWe(메가와트)급 원전이다. 계속운전 허가 시 고리 2호기의 수명은 2033년 4월까지 연장된다.

앞서 고리 2호기와 관련, 한수원은 2022년 4월 계속운전을 위한 주기적안전성평가(PSR)를, 2023년 3월에는 운영변경허가를 각각 신청했다. 계속운전에 필요한 사고관리계획서도 2019년 6월 제출돼 6년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심사를 거쳤으며, 기술 검토를 담당하는 원안위 산하 전문가 위원회인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도 여섯 차례 검토를 마쳤다.

‘기후위기비상행동’(비상행동), 탈핵시민행동 등 탈핵·환경단체는 고리 2호기 심사 과정에서 절차적 위법성, 안전성 검토 미비, 주민 의견 반영 부족, 경제성 평가 부실 등 중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지적돼 왔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지난 1주일간 수명연장 중단을 염원하는 시민들의 서명(5348명)을 모아 지난 23일 대통령실에 직접 전달하기도 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금정산챌린지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