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해사법원 유치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인천이 지역구인 윤상현 의원이 해사법원 인천 신설을 위한 법안을 발의하며 경쟁에 뛰어들었습니다. 부산은 이미 여야가 법안을 공동 발의하며 앞서 있었지만, 인천이 해사법원까지 노리면서 상황이 복잡해졌습니다. 인천이 지난해 고등법원을 유치한 만큼, 그동안은 해사법원은 부산이 유리하다는 관측이 많았습니다.
|
|
|
|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지난 21일 국민의힘 윤상현(인천 동미추홀을) 의원은 해사법원 인천 신설을 위한 법안을 발의했다. 윤 의원은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을 보유한 인천은 지리적 접근성과 편의성 측면에서 해사법원 설립의 최적지라는 논리를 펼쳤다. 부산의 경우 지난해 6월 여야 의원 양측에서 이미 유치 법안을 발의한 바 있다.
| | | |
경남과 울산 등 영남권에 초대형 산불이 나흘째 이어지면서 피해가 확산하고 있다. 산림 당국은 일출과 동시에 헬기 등을 투입하며 지상전과 공중전에 나섰지만 건조한 날씨 속 강한 바람으로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
|
|
4·2 부산시교육감 재선거를 앞두고 보수 단일화가 여론조사 왜곡 논란 끝에 무산되며 파장이 커지고 있다. 보수 진영 후보들이 책임 공방을 벌이는 사이, 일찌감치 단일 대오를 갖춘 진보 진영은 반사 이익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이번 주 사전 투표가 시작되며 선거가 막판으로 치닫는 가운데 ‘3자 구도’ 속 각 후보의 셈법도 복잡해지고 있다.
|
|
|
|
‘부산의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던 금양이 2년 만에 상장폐지 위기(부산일보 3월 24일 자 14면 등 보도)에 몰리자 부산 상공계가 술렁이고 있다. 금양을 이차전지 클러스터의 중심축으로 육성하려던 부산시도 금양의 하락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모양새다. 개인투자자들은 충격 속에서도 후속 조치들에 귀를 기울이며 예의주시하고 있다.
|
|
|
|
24일 더불어민주당 안도걸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5대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에서 확인된 가상자산 보유 규모는 총 105조 107억 원이다. 이는 2021년 ‘가상자산 버블’ 이후 역대 최대 규모다.
| | | |
오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
솔직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
만족해요
아쉬워요
|
|
|
|
부산일보가 취재해서 밝혀주길
바라는 내용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물론 응원 메시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
나의 의견 전송하기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