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정부 조사에서 원전의 '숨은 경비' 논란이 있는 사용후핵연료 관리비가 경수로형 다발당 6억 6000만 원으로, 현행 기준의 두 배를 넘긴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큰 파장이 나올 수도 있었지만, 별도 고시없이 조용히 넘어갔습니다.
|
|
|
|
31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수력원자력 등에 따르면 2023년 정부는 ‘사용후핵연료 관리 부담금(이하 부담금)’을 검토해 경수로형 연료 다발당 6억 6000만 원 상당의 비용이 필요하다고 계산했다. 올 6월에도 한수원과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고리 1호기 해체 안건을 논의하면서, 대략적인 사용후핵연료 관리 비용을 다발당 6억 6000만 원에 준해 추산했다.
| | | |
사업 지연으로 올해 예산이 삭감된 가덕신공항 건설사업비가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반영됐다. 부산시는 기획재정부가 지난달 29일 발표한 ‘2026년 정부 예산안’에 가덕신공항 건설사업비 6890억 원이 반영됐다고 31일 밝혔다. 가덕신공항 건설사업비는 올해 본예산에 9649억 원이 편성됐지만 현대건설 컨소시엄의 부적격 기본설계안 제출로 올해 목표로 했던 부지 조성 공사 착공이 미뤄지면서 지난 6월 추경 과정에서 5224억 원이 불용 처리돼 삭감됐다.
|
|
|
|
국민의힘 부산 4선의 김도읍(강서) 의원이 장동혁 대표 체제에서 당 정책위의장에 내정됐다. 재정과 인사권 등 당 운영 전반을 총괄하는 사무총장은 경북 재선인 정희용(경북 고령성주칠곡) 의원이 맡게 됐다. 국민의힘 최보윤 수석대변인은 31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은 내용의 인선안을 발표했다. |
|
|
|
부산 지역 고등학교 2곳에 폭발물을 설치했다는 협박으로 학생과 교직원 1200여 명이 수업을 멈추고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최근 전국에서 잇따르는 일본발 테러 협박 사태의 일부로 부산에서는 첫 사례다. 경찰은 수사에 나섰지만, 발신자 추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
|
|
31일 부산 6개 지자체에 따르면 송정·송도·광안리·다대포·일광·임랑 해수욕장이 이날 폐장했다. 해운대해수욕장은 오는 14일까지 연장 운영한다. 올해 7개 해수욕장의 누적 방문객 수는 지난달 30일 기준 2088만 5808명으로 2000만 명을 넘겼다. 2022년 이후 3년 만의 기록이다.
| | | |
오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
솔직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
만족해요
아쉬워요
|
|
|
|
부산일보가 취재해서 밝혀주길
바라는 내용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물론 응원 메시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
나의 의견 전송하기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