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부터 10년간 전국 7대 특·광역시 가운데 부산에서 자연재난으로 사망·실종 피해를 입은 사람 수가 27명으로 가장 많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기간 7대 도시의 전체 사망·실종자 수는 84명이었다고 합니다. 부산에서 기후관측을 시작한 1905년부터 10년간의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평균 기온은 1.8도, 강수량은 86.8mm 늘었고, 강수일은 10.3일 줄어 갈수록 국지적 집중호우 양상이 강화되면서 홍수와 가뭄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게다가 태풍이나 폭풍, 해일 등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 빈도가 잦아지고 더 강해져, 해안 지역인 부산은 그 영향을 더 직접적으로 크게 받으므로 도시 차원의 기후 변화 대응이 필수적입니다. 10일 부산연구원 탄소중립지원센터와 환경부가 ‘기후위기 적응 대책과 정책방향’이라는 주제로 공동 세미나를 열면서 이런 조사 결과가 발표된 건데요, 여러 차례 강조했지만 해안을 끼고 있는 부산의 특성상 도시정책에서 가장 주안점을 둬야 할 것은 안전이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확인시켜주는 데이터입니다.
이런 가운데 부산 영도구 해양클러스터에 입주한 국립해양조사원이 이달부터 국내에서 처음으로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우리나라 주변 해역 해수면이 2100년까지 몇 cm 상승할지 전망하는 예측치를 누리집에서 공개하는데, 온실가스가 저감 없이 배출되는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2050년까지 25cm, 2100년까지는 82cm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화석연료 사용이 최소화되고 친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을 이룰 것으로 가정하는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도 2050년 20cm, 2100년 47cm로 상승폭이 적지 않았습니다. 해수면 상승폭과 상승률은 모든 시나리오에서 황해에 비해 동해가 다소 높을 것으로 전망됐고, 어떤 시나리오에서든 시간이 지날수록 상승 속도가 빨라진다는 점이 확인된 만큼 해안을 낀 부울경이 정부와 긴밀하게 협의하며 좀 더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