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폐지 위기에 몰린 금양(부산일보 3월 24일 14면 등 보도)이 상장폐지 이의신청서를 10일 제출했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금양이 2024 사업연도 감사인의 감사보고서상 감사의견 거절로 인한 상장폐지 기준 해당 사실과 관련해 상장폐지 이의신청서를 10일 제출했다.
한국거래소는 유가증권시장상장규정시행세칙에 따라 영업일 기준 20일 이내에 상장공시위원회의 개최하게 된다. 상장공시위원회에서 이의신청의 적정성 여부, 개선 계획의 타당성, 개선 기간의 부여 및 기간, 상장폐지 등을 심사한다. 위원회의 결정은 3일 이내에 내려진다. 금양이 10일 이의신청서를 제출한 만큼 늦어도 5월 15일 안에 상장공시위원회의 심의 결과를 통보받게 된다. 다만 개선 계획의 내용이나 그 이행 여부 등을 고려하여 상장공시위원회의 심의가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심의 없이 개선 기간을 부여하거나 상장유지 결정을 할 수 있다.
류광지 금양 회장은 지난달 31일 열린 '제70기 정기주주총회'에서 개선 여부가 결정되며 거래소가 개선 기간을 부여할 경우 국내와 해외에서 자금을 빠르게 조달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또 주주총회에서 류 회장은 기장공장의 매각 후 재임대 등의 방안을 설명했다. 현재 금양의 기장공장은 7000억 원이 투입됐지만 준공이 되지 못해 담보 가치를 받지 못하고 있다. 이를 토지를 매각 후 재임대하는 방식으로 유동화하겠다는 뜻이다. 현재 기장공장의 공정률은 약 90%로 주요 설비는 21층까지 반입된 상태로 알려졌다. 현재 공사는 자금 문제로 중지되어 있지만 공사를 다시 시작하면 2~3개월 내에 공정을 마무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지역 선도기업으로 꼽히던 금양의 소식에 지역 경제계 전체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금양은 전통산업 중심의 부산 제조업 생태계를 바꿀 수 있는 ‘기폭제’로서 주목받았기 때문에 상장폐지 여부에 더욱 관심이 크다. 부산 기장군 장안읍에 금양을 중심으로 동부산 E-PARK 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이차전지 클러스터를 만들려는 청사진을 갖고 있던 부산시도 마찬가지다. 부산시는 최근 몇 년 새 금양과 투자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행정부시장을 전담 책임관으로 임명해 기업 규제 완화 등에 나서는 등 금양을 이차전지 클러스터의 ‘키’로 육성할 계획이었다.
장병진 기자 joyfu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