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도 공들이는 李·金 ‘HMM 부산행’ 약속

입력 : 2025-05-21 20:50:00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양당 모두 “해양 시너지” 이전 찬성
이준석은 “기업 자율 선택” 신중론
이재명이 띄운 해수부 부산 이전
김문수·이준석 “비효율 초래” 반대

부산신항에 정박 중인 HMM 플래티넘호. HMM 제공 부산신항에 정박 중인 HMM 플래티넘호. HMM 제공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개혁신당 소속 6·3 대선후보들이 부산이 해양·수산·항만·물류 분야에서 해양수도로 도약하기 위한 각자 다른 비전을 내놨다. 해운 대기업 HMM의 부산 이전을 두고는 거대 양당의 두 후보가 나란히 ‘찬성’으로 입장이 일치했지만,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부울경 공약으로 띄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대해서는 후보별로 입장이 갈렸다.

21일 〈부산일보〉 취재진이 민주당 이재명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3인에게 ‘해양수도 부산 육성을 위한 후보별 비전’을 묻자, 김 후보와 이준석 후보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을 내놨고, HMM 부산 이전에 대해서는 김 후보와 이준석 후보가 각각 찬성과 반대로 갈렸다. 이재명 후보는 취재진의 관련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 다만 해수부 이전과 HMM 이전은 모두 이번 부울경 대선 공약에서 이재명 후보가 띄운 화두로, 이재명 후보는 대선후보 중 가장 적극적으로 해수부·HMM 이전에 대해 목소리 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21일 인천광역시 부평역 북광장에서 시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왼쪽). 같은 날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가 경기 고양시 화정역 문화광장 앞에서 집중 유세를 하고 있고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후보는 경기 성남의료원으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가 21일 인천광역시 부평역 북광장에서 시민들에게 인사하고 있다(왼쪽). 같은 날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가 경기 고양시 화정역 문화광장 앞에서 집중 유세를 하고 있고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후보는 경기 성남의료원으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후보는 지난달 해수부 부산 이전을 공식화하며 “조선, 물류, 북극항로 개척 등 첨단 해양산업 정책의 집행력을 확보하겠다”고 언급했다. HMM 이전에 대해서도 “국내외 해운·물류 대기업 본사와 연구개발(R&D)센터를 유치해 해양 클러스터를 조성해 청년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해수부 이전을 필두로 HMM 등 해운·물류 대기업의 본사 이전도 함께 추진해 해양클러스터를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김문수 후보와 이준석 후보는 해수부 이전이 오히려 행정 비효율을 낳는다고 지적했다. 김문수 후보는 “해수부는 해운, 물류뿐 아니라 관광, 해양, 해양 주권 등 다양한 업무가 중첩된 복합 부처”라며 “상시 협의를 막는 지역 이전은 부처 간 네트워크를 해쳐 해양수산업 위기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HMM 이전에 대해서는 김문수 후보와 이재명 후보가 뜻을 같이 했다. 김문수 후보는 “해양 분야 발전의 시너지를 내기 위해 HMM 부산 이전은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해양 관련 기업의 부산 집적화가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한국해양진흥공사 본사 등 해양 관련 공기업 다수가 이미 부산에 있고 국내 수출입 물동량 90% 이상이 부산항에서 처리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했다.

이준석 후보는 HMM 이전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정부의 강제가 아닌 기업의 자율적 선택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이유다. 이준석 후보는 인프라와 인센티브 등으로 기업의 자발적 이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해양 관련 기업 이전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후보가 전격적으로 해수부·HMM 이전 카드를 들고 온 배경에는 보수 진영에서 그간 추진해 온 산업은행 부산 이전 공약에 맞서기 위한 ‘맞불 전략’이라는 분석이다. 산은 이전과 부산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 제정 등이 지난 정부 공약이었다는 점을 부각하고 새로운 ‘북극항로 개척’ 카드를 전면에 앞세워 존재감을 부각하는 모습이다. 부산의 해양수도 육성 방안을 두고 이재명 후보는 북극항로에 초점을 맞추는 한편 보수 진영 후보들은 산은 이전과 특별법 제정 등을 강조하고 있어 해양수도 부산의 밑그림 단계부터 진영 간 주도권 싸움이 펼쳐지고 있다는 평가다.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

부산온나배너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