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마침내’ 오늘,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의 적정성에 대한 검토 결과 보고서를 일본 정부에 전달합니다. 지금까지 6차례 후쿠시마 제염설비와 해양 방류 방법에 대한 검토 보고서에서 ‘타당하다’는 입장을 견지한 IAEA이기에 이번에도 방류를 허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한국뿐 아니라 홍콩과 태평양 섬나라들 사이에서도 오염수 방류에 반대하는 기류가 확산하고 있습니다. 안전한 오염수라면 왜 자국에 두지 않느냐는 겁니다.
나라밖에서만 그런 게 아니라, 일본 내에서의 반발도 만만찮습니다. 후쿠시마현 어업협동조합연합회는 지난 1일 해양방류 반대 특별결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했고, 전국어업협동조합연합회도 해양 방류 반대 입장에 변함이 없음을 담화로 밝혔습니다. 일반 국민 여론조사에서도 해양 방류 찬성 45%, 반대 40%로 팽팽합니다. 1억 2330만 전체 일본 인구 중 1207명만 조사했으니 오차 범위도 매우 큽니다. 찬반 우열을 가리기 어렵다는 얘깁니다.
일본 정부는 이런 국내외 비판 여론을 살피며 적절한 방류 시기를 조정할 것으로 예상하는데, 이르면 8월 중일 수도 있다고 전망합니다.
여기서 연립여당의 한 축인 공명당 야마구치 대표가 3일 한 발언이 눈길을 끕니다. “임박한 해수욕 시즌은 피하는 게 좋겠습니다. 또 어민들의 우려도 있으니 ‘풍평(소문) 피해’를 초래하지 않도록 설명을 다해 주기를 바랍니다.” 한여름 해수욕철은 피하자는 야마구치 대표의 발언에서 눈길이 가는 단어는 ‘풍평 피해’입니다. 풍평 피해는 지난달 30일 기시다 총리도 오염수 방류 관련 각료회의에서 언급한 바 있습니다. ‘바람처럼 떠도는 뜬소문’을 뜻하는 풍평은, 우리 정부가 말하는 ‘괴담’과 닮았습니다.
ALPS라는 제염 처리기가 완벽하게 방사성 물질을 모두 걸러내는지, 먹물을 희석하듯 엄청난 양의 바닷물에 섞으면 방사성 물질이 없어지는지, 한국은 물론, 일본 내 어민들과 절반 정도의 일본 국민들도 이 근원적인 질문을 하는 것입니다. 뜬소문이나 괴담이 아니라 너무나 상식적인 질문입니다.
IAEA 보고서 공개에 따라 국회에서는 여야 의원들에게 비상대기령을 내리고, 여론 추이에 민감한 모습입니다. 전문가들이 보고서를 꼼꼼히 검증하고, 필요하다면 정부와 국가 차원의 대응에 나서리라 믿고 싶습니다. 반감기가 30년에 이르는 세슘 등 방사성 물질을, 성장기 어린이들이나 가임기 여성들이 언제든 자신도 모르게 섭취할지 모른다는 우려가 현실이 되지 않기를 바랄 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