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 금속노련 포스코노동조합이 4일 그룹 내부에서 사망사고가 잇따르자 회사 측이 ‘그룹안전특별진단태스크포스(TF)’ 출범을 선언한 데 대해 “‘정부 보세요’일뿐이지 노동자들에게 ‘회사를 안전하게 해주겠다’는 메시지는 없어 분노한다"고 밝혔다.
포스코 김성호 노조위원장은 이날 노조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이재명 정부가 얘기하니까 거기에 맞춰서 급하게 하겠다고 한 것 뿐이지 노조를 찾아온 적이 없다. 발표하기 바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포스코그룹은 올해 들어 5명의 사망 사고가 발생하자 지난달 31일 회장 직속 그룹안전특별진단TF를 출범하겠다고 발표했다. TF에는 학계, 기관, 직원, 노조 등 이해관계자가 참여한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국무회의에서 포스코이앤씨에서 발생한 사망사고를 두고 “아주 심하게 얘기하면 법률적 용어로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 아니냐”고 강도 높게 비판한 직후에 나온 조치다. 지난해 취임한 장인화 회장 체제에서 올해에만 포스코이앤씨 건설 현장에서 4명, 광양제철소에서 1명 등 그룹 전체에서 최소 5명의 노동자가 사망했다.
이에 포스코 노조는 사고와 관련한 안전 문제를 제기했음에도 장 회장이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고 논의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일방적으로 발표했다며 반발하고 있다. 특히 노조는 회사 측이 고용노동부 장관과 정치권에 ‘노동조합이 참여하는 TF 구성’을 보고한 것이 ‘거짓 안전대책’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노조가 참여하는 안전대책이 있어야 한다”며 “위험한 설비뿐만 아니라 모든 설비를 전수조사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가 사고가 날 것 같은 잠재적 위험 요인을 다 알고 있다”며 “(TF에) 참여하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고 참여하고 실행하는 권한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그동안 말로만 노동자를 위한 안전대책이라며 많은 예산을 들여 여러 가지 활동을 했지만 사실상 보여주기에 불과했다”며 “투자는 어디에 무엇을 위해 한 것인지 궁금하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제철소장이 와서 한마디 하면 산업안전보건법보다 중요한 제철소장법이 되고 노동자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안전 문화이다 보니 다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간 발표한 사측의 안전 대책들이 문제를 더 키운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지금 안전 프로세스는 복잡하고 일이 많아 오히려 조합원들은 지칠 대로 지쳤다”며 “문서와 형식에 휘둘렸지만, 안전사고는 줄어들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이어 ”많이 만들고 멋있게 만드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다”며 “단순하고 쉬운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장인화 회장을 향해선 “소통을 잘했기에 기대가 컸지만 이번 건에 대해선 생각이 다르고, 유감스럽다”며 “회피하려 하지 말고 머릿속에 노동자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송상현 기자 songsang@busan.com